이윤선의 남도인문학> 소는 키우지 않고 헛짓만 해대는 이들이 누구인가
  • 페이스북
  • 유튜브
  • 네이버
  • 인스타그램
  • 카카오플러스
검색 입력폼
이윤선의 남도 인문학
이윤선의 남도인문학> 소는 키우지 않고 헛짓만 해대는 이들이 누구인가
쇠코뚜레||“묵묵히 자신의 영역에서||꼴 베어 소 키우는 이들이||진정한 깨달음의 과정을||걷는 이들 아닐까”
  • 입력 : 2021. 09.09(목) 16:44
  • 편집에디터
"점점 조절되고 길이 들어 달리 마음 쉬어지고, 물 건너고 구름 뚫어 걸음걸음 따라오나, 손에 고삐 잡아 조금도 늦추지 않고, 목동이 종일토록 피곤함을 잊어라." 명언 같은데 알쏭달쏭하고 오래된 시어 같은데 얼른 이해되지 않는다. 연초 배냇소와 더불어 소개했던 십우도(十牛圖)의 한 장면이다. 본성을 찾는 것을 소에 비유한 선화(禪畵)이기에 심우도(尋牛圖)라고도 한다. 종교적 깊은 뜻을 두루 알 수는 없지만, 쇠고삐 틀어쥐고 소를 이끄는 것 정도는 이해하겠다. SNS에 걸어둔 내 표제어, '깔 비고 소 띠끼고'의 의미라고나 할까. 항간에 회자 되는 '소는 누가 키우나'라는 언설에 대한 대답일지도 모른다. 산으로 들로 나가 소에게 풀을 뜯기고, 꼴(말이나 소에게 먹이는 풀) 베어 망태기에 담아오던 것이 소싯적 일상이었던 이들에게는 너무도 선명한 풍경, 이를 남도에서는 '소뜯긴다'고 했다. 시골에서 자란 이들은 기억할 것이다. 어린 시절 날마다 산으로 들로 나가 소에게 풀 뜯기는 일이 일상이지 않았는가. 이를 불교 선종(禪宗)에서 본성을 찾는 깨달음에 비유했으니 그윽한 은유, 나아가 지극한 철학이 아닐 수 없다. '소 부리는' 일이 그렇게 심도 있는 일일까? '부리다'는 기계나 기구 따위를 마음대로 조종한다는 뜻이다. 소나 말(馬)뿐 아니라 다른 사람을 시켜 일하게 하는 데도 사용하는 말이다. 소를 키워보지 않은 이들은 궁금해할지 모른다. 그렇게 덩치 큰 소를 어린이가 어떻게 다룰 수 있나? 하지만 소는 간단한 명령어를 잘 알아듣고 행동한다. '이랴!'하고 고삐를 당기면 오른쪽으로 가라는 뜻이고 '자라!'하고 고삐를 찰싹거리면 왼쪽으로 가라는 뜻이다. '워워!'하고 고삐를 잡아당기면 정지하라는 뜻이다. 본래 소의 성품이 그러한가? 그렇지 않다. 어린이에게도 순종하는 이유는 고삐 때문이고 고삐에 연결된 코뚜레 때문이다.

쇠코뚜레(牛鼻环) 매어 길들이는 법

언제 시작했는지는 모르겠지만 쇠코뚜레의 역사는 매우 깊다. 쇠코뚜레라는 뜻의 한자 권(桊)이 있으니 적어도 한자 발명 이전일 것이다. 어쩌면 인간이 소를 가축으로 다루기 시작한 기점인지도 모른다. 사전에서는 '소를 순조롭게 잘 다루기 위해 소의 코를 뚫어 끼우는 둥근 나무테'라고 코뚜레를 정의한다. 본래 소는 힘이 세고 고집이 세어 말을 잘 듣지 않는데, 이를 제압하기 위해 코뚜레를 꿰어 잡아당기면 아프기 때문에 어쩔 수 없이 순종하게 된다는 것이다. 지역에 따라 '코꾼지', '코빼이', '군들레' 등으로 부른다. 노간주나무, 박달나무, 물푸레나무, 다래나무, 소태나무, 이게 모두 쇠코뚜레 재료들이다. 이 나무들은 껍질을 벗길 때 물기가 적당하여 잘 벗겨진다. 껍질을 벗겨낸 표면이 매끈하여야 소의 콧구멍을 뚫을 때 고통이 적다. 또 나무가 잘 휘어져야 한다. 박달나무는 견고하기에 아예 삶아서 사용하기도 한다. 코뚜레를 언제 하는가? 출생 후 5~6개월 정도다. 계절로는 여름철이 좋고 적어도 1년 안에 해야 한다. 1년이 넘어가면 소가 새끼를 밸 정도로 성장하기 때문에 제압하기 힘들다. 대개 오월 단오에 쇠코뚜레 뚫기를 한다. 상처는 일주일쯤 지나 아물게 된다. 코뚜레를 뚫은 소는 길들이기를 해야 한다. 멍에를 지우고 무거운 돌을 달아 끌게 한다. 장차 소달구지나 쟁기를 끌게 하기 위해서다. 이때 간단한 명령어를 습득하면서 점차 사람에게 순응하게 된다. 이 소 길들이기가 단순하지 않다. 선종의 심우도에 깃든 과정들이 난해하긴 하지만 소 길들이기 과정, 잃어버린 소를 찾는 과정들이 지극한 은유로 설정되어 있지 않은가.

씨압소의 코뚜레와 깨달음

연초, 소의 해를 맞는 의지를 씨압소 전통으로 소개한 바 있다. 이미 설명하였으므로 코뚜레와 관련된 행간만 요약해둔다. 씨압소는 씨앗이소 즉, 씨를 잉태하는 소라는 뜻이다. 그래서 배냇소라고 했다. 아이가 처음 태어났을 때 입히는 옷을 배내옷이라고 하는 이치와 같은 것이다. 열네 살이 되면 씨압소를 부릴 수 있게 된다. 지금으로 치면 중학교 입학생부터다. 무상으로 분배받은 송아지가 생후 6개월이 되면 '목매기' 즉 목에 고삐걸이를 한다. 이후 뿔이 나오고 생후 1년이 지나기 전에 코뚜레를 뚫어 채운다. 생후 13달 정도 되면 새끼를 밴다. 임신 기간이 280일로 사람과 거의 같다. 생후 2년이면 새끼를 분만하게 된다. 통상 이 새끼를 씨압소 받은 소년이 갖고 어미소를 씨압소 준 이에게 갚는 것이 씨압소 전통이다. 소년은 16세가 되어 자기의 소를 갖게 된다. 혼인할 수 있는 자격도 얻게 된다. 성년으로의 도약을 시작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전통사회에서는 소를 생구(生口)라고 했다. 왜 그리 불렀을까. 사전에서는 '집에서 기르는 짐승, 소, 말, 돼지, 닭, 개 따위를 통틀어 이른다'고 풀이한다. 하지만 지금의 반려동물에 비추어보면 가족을 식구(食口)라고 부르는 것에 견주어야 하지 않을까 싶다. 소와 개, 고양이 따위는 가축보다 반려동물로서의 의미가 훨씬 크기 때문이다. 지난번 개의 목줄 혹은 개목걸이를 소개하면서 그것이 제압이나 복종만을 위한 매개인지 재삼 질문했던 이유가 여기에 있다. 소의 코뚜레도 마찬가지다. 이것이 벽사진경의 한 상징으로 활용되었던 사례를 보면 더 명료해진다. 그러지 않고서야 불교의 지극한 깨달음의 과정에 잃어버린 소를 찾고 길들이며 종국에는 흰소 타고 피리 불며 들어오는 동자를 상정했겠는가. 물론 코뚜레를 깨달음의 과정에 중요한 제재로 등장시키는 온전한 이유를 다 알기는 어렵다. 단순히 짐작할 뿐이다. 잃어버린 소를 찾아 길들이고 종국에는 미련과 집착으로부터 벗어난다는 과정을 그린 그림이 심우도라는 정도는 이해할 수 있다. 곽암의 심우도와는 다르게 보명의 심우도에서는 수제(受制)로써 규칙을 따르는 것을 세 번째 단계로 설정한다. 보명의 다섯 번째 단계인 목우(牧牛)가 바로 그것이다. 소싯적 일상으로 돌아가 소 풀 뜯기던 일과 견주어 본다. '깔비고 소띠끼고' 이것을 한자로 바꾸면 목우(牧牛)다. 농담조로 말하자면 누가 시키거나 강요하지 않았는데도 어린 시절부터 깨달음의 도(道)를 닦기라도 했던 것일까? 비유를 달리해보면 이 생각이 좀 더 명료해진다. 키우라는 소는 키우지 않고 헛짓만 해대는 이들이 누구인지 말이다. 묵묵히 자신의 영역에서 꼴 베어 소 키우는 이들이야말로 진정한 깨달음의 과정을 걷는 이들 아닐까.

남도인문학팁

쇠코뚜레와 반려동물 목줄의 행간

구례 운조루 대문 한 가운데에 소의 코뚜레가 걸려 있다. 남도뿐 아니라 전국에 산재한 풍속이다. 입춘첩을 붙이고 소코뚜레를 걸어놓거나, 정초에 엄나무, 복조리와 함께 코뚜레를 벽에 거는 풍속이 모두 그렇다. 성질이 고약한 소를 길들이는 것이기에 사악한 귀신도 길들일 수 있다는 믿음의 발로일지 모른다. 나쁜 것을 물리친다는 생각은 벽사진경 즉, 나쁜 것은 몰아내고 좋은 것을 불러들인다는 관념으로 이어진다. 쇠코뚜레와 고삐를 포함해 목줄의 사전적 의미는 개나 고양이 등의 동물 목에 둘러매는 줄을 말한다. 하지만 영혼의 끝을 지키는 체로키족의 개로부터 이집트 신전을 지키는 개, 민화로 그려져 대문을 지키는 문배도의 개까지 그 의미는 더욱 확장되었다. 쇠코뚜레가 갖는 벽사진경의 의미가 이와 크게 다르지 않다. 어쩌면 각자의 전공으로 묵묵하게 소 키우는 일이야말로 벽사진경의 진정한 부적일지 모른다. 이윤선

편집에디터 edit@jnilbo.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