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윤선의 남도인문학> 천년전 고려 뱃길에 동아시아 네트워크 비전이…
  • 페이스북
  • 유튜브
  • 네이버
  • 인스타그램
  • 카카오플러스
검색 입력폼
이윤선의 남도 인문학
이윤선의 남도인문학> 천년전 고려 뱃길에 동아시아 네트워크 비전이…
고려뱃길 시험탐사 ||남북한 단절, 섬 분쟁 등||국제적 대립을 풀어내는||절묘한 콘텐츠 될 것||국립해양문화재연구소의||본격적인 탐사를 통해||더욱 선명해지길 기대
  • 입력 : 2022. 01.13(목) 16:24
  • 편집에디터

고려뱃길 시험탐사 국립해양문화재연구소 통신사선. 이윤선

흑수양(黑水洋)은 북쪽 바다이다. 점점 깊숙이 들어갈수록 물빛은 진한 먹처럼 검은색이었다. 갑자기 그것을 보면 정신과 담력을 모두 잃게 된다. 성난 파도가 뿜어내는 것이 우뚝 솟은 만산과 같고, 밤이 되면 파도 사이가 불처럼 밝게 빛난다. 배가 파도 위로 올라갈 때는 바다가 있음을 느끼지 못하고 오직 밝은 해만 볼 수 있을 따름이다. 그러나 배가 내려가 파도 밑에 있을 때 전후의 수세를 바라보면 높이 하늘을 가리며 위장이 뒤집히고, 헐떡거리는 숨만이 겨우 남아있어 쓰러져 구토하고, 먹은 음식(粒)은 목구멍으로 넘어가지 않는다. 요 위에 피곤해 누워 있을 경우에는 반드시 사방을 높이 올려 구유(槽)와 같게 한다. 그렇지 않으면 기울어져 이리저리 굴러 몸을 다치게 된다. 이 때에 몸이 만 번 죽을 수 있는 고비에서 벗어나길 바라니, 위험하다 할 만하다.

흑조의 끝자락 흑산도 포구. 이윤선

서긍의 <고려도경> 권34 흑수양 편의 내용이다. 이미 해려초, 봉래산, 반양초, 백수양, 황수양을 건너 온 터다. 서긍은 서기 1123년 3월 14일 개봉을 출발하여 소주, 항주, 월주, 명주를 거쳐 정해현에 닿는다. 지금의 절강성 주산군도다. 5월 26일에 주산군도 심가문 항을 출발하여 6월 2일 도착한 곳이 협계산(夾界山)이다. 대개 학자들은 이곳을 지금의 가거도로 비정한다. 과연 그러할까? 지난해 가을 국립해양문화재연구소에서 서긍의 고려뱃길 시험탐사(단장 진호신 연구관)를 했다. 한해륙의 끝자락 가거도 남단에서 지금의 신안군 재원도까지 서긍의 바닷길을 재현한 것이다. 옛 형태 그대로 재현한 조선통신사선이 천년의 바닷길을 가로지르는 시험탐사에 나도 같이할 수 있어 영광이었다. 가능한 한 당시의 항로를 추적하려 했고, 배의 속도 또한 그에 맞추려 했다. 삼일 밤낮의 시험탐사는 대성공이었다. 통신사선 및 여러 척의 전통선박을 재현하여 만들고 고대의 항로를 끊임없이 탐구한 홍순재 연구사의 노력이 거둔 성과이기도 했다. 큰바다의 너울 파도가 심한 멀미를 선물 해주었지만, 정신력과 담력을 잃을 정도는 아니었다. 고대의 뱃길을 당시의 환경 그대로 재현한다는 기대가 오히려 파도를 넘고 역사를 넘어 천년 아니 수만년 세월을 횡단하는 듯했다. 서긍이 표현한 흑수양(검은 바다)을 추적해 올라가면 적도 상간의 흑조(크로시오 해류)에 닿는다. 거대한 흑조의 본류는 일본의 동쪽을 지나 태평양으로 순환하지만 그 지류들이 황해로 스며들고 이내 한해륙에 닿는다. 그 첫발이 협계산이다. 한해륙의 서남단 기점이 되는 곳이다. 양쯔강 하구에서 올라올 때는 백수양, 황수양 등 물색이 달라지지만, 흑조의 지류를 타고 오르면 흑산(黑山)에 이르도록 물빛은 여전히 검다. 흑조(黑潮)에서 비롯되었으니 흑산도요, 한해륙에 첫발을 내딛으니 노둣돌이다. 내가 산경표를 뒤집어 해경표로 읽어내고 한해륙 5대 물골론을 주장한 이유도 여기에 있다. 여전히 풀리지 않는 의문은 서긍이 말했던 협계산이 과연 지금의 가거도인가이다. <고려도경> 권35 첫 대목을 다시 인용한다.

6월 1일 임오일 해 뜰 무렵, 안개가 자욱한데 배는 동남풍을 탔다. 오전 10시쯤(巳刻) 조금 개였고 바람이 서남풍으로 바뀌어 야호범(野狐颿)을 더 보탰다. 정오에 바람이 사나워져서 첫째 배의 큰 돛대가 우두둑 소리를 내며 휘어져 부러지려고 하자, 급히 큰 나무를 덧대어 붙여 온전하게 넘어갔다. 오후 3시가 다되어(未後) 동북쪽 하늘 끝을 바라보니 구름같이 은은한 것이 있었다. 사람들은 그것을 가리켜 반탁가산(半托伽山)이라고 하였으나 그리 분명하게 구별할 수 없었다. 밤이 되자 바람이 약해 배가 매우 느리게 움직였다. 2일 계미일 아침 안개가 자욱하고 서남풍이 불다가 오후 3시가 다 되어 맑게 갰다. 정동(正東)쪽으로 병풍 같은 산이 하나가 보이는데 그것이 협계산이다. 중국과 오랑캐는 이 산으로 경계를 삼는다. 처음 바라볼 때는 희미했으나, 오후 7시가 다 되어(酉後) 가까이 다가가니 앞에 두 개의 봉우리가 있다. 이를 쌍계산(雙髻山)이라고 부른다. 뒤에는 작은 암초 수십개가 있는데 달리는 말의 형상이다. 눈(雪)같은 물결을 거세게 뿜는데, 그것이 산을 만나면 더욱 높게 튀어 오른다. 오후 11시에서 오전 1시 사이(丙後)에 바람이 세지고 비가 와서 돛을 내리고 뜸(蓬)을 걷어 그 기세를 늦추었다.

<고려도경>에는 서남해에서 서해 끝자락에 이르는 수많은 섬과 바다의 이름이 나온다. 반탁가산, 협계산, 쌍계산, 말 달리는 듯한 여(嶼)등 수수께끼 같은 이름들이다. 이곳이 지금의 어디일까? 숱한 연구자들이 이를 밝히고 여러 권의 단행본까지 출판하였지만, 다 확정했다고 말하기 어렵다. 바람과 날씨, 조류와 해류 등의 특성을 무시한 채 탁상연구로 내린 결론들도 많다. 탐사에 동행하였던 변남주 박사는 만재도와 가거도를 견주어 살펴야 협계산을 제대로 특정할 수 있다고 주장한다. 바닷길이 직선이 아닌 곡선 혹은 지그재그로 나 있으며 바람과 날씨의 영향으로 뒤바뀌기 일쑤이기 때문이다. 어쩌면 지금부터 진정한 연구의 시작인지도 모른다. 최초로 시행한 고려뱃길 시험탐사의 의미가 그만큼 막중하다는 뜻일 것이다. 단순히 천년전 중국사신 서긍의 뱃길을 재현한다는 얘기가 아니다. 절강성 주산군도의 심가문 항구에서 북한 개경에 이르는 뱃길을 재현하고, 일본의 세토내해를 거슬러 교토와 나라에 이르는 뱃길을 재현하는 의미들 말이다. 여기에는 천년 혹은 더 이전의 조상들이 내왕했을 역사와 장차 내왕할 동아시아 네트워크의 비전이 숨어 있다. 남북한의 단절, 섬 분쟁 등 국제적 대립을 풀어내는 절묘한 콘텐츠라는 점에서 이 사안은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다. 서긍은 중국과 오랑캐의 경계라고 표현했지만, 한해륙의 서남해 기점을 이 언저리로 삼는 것은 예나 지금이나 마찬가지다. 협계산을 특정하는 것은 국립해양문화재연구소의 본격적인 탐사를 통해 더욱 선명해지리라 본다. 옛 섬 이름 하나하나 톺아가며 설명할 날을 기다린다.

국립해양문화재연구소 고려뱃길 시험탐사 뱃고사. 이윤선

〈남도인문학팁〉

흑수양(黑水洋)의 노둣돌, 이어초에서 가거초까지

천년 전 <고려도경>에서는 협계산(가거도로 추정)을 중국과의 기점으로 말하고 있지만, 우리나라는 이미 이어초(2003년)와 가거초(2009년)를 건설하여 국경의 기점으로 삼고 있다. 우리 국토로부터 가장 먼 이어초는 거꾸로 말하면 흑조로부터 들어오는 첫 디딤돌이다. 이어도 최고봉(최남단 마라도에서 149Km)에서 남쪽 약 700미터 떨어진 곳(동경 125도 10분 56.0초, 북위 32도 07분 22.0초)이다. 수심 40미터 지점 수중 암초다. 제주도의 해녀노젓는 소리로 알려져있는 '이여도사나소리'는 'ᄌᆞᆷ녀 네 젓는 소리'라고도 한다. 주목할 것은 일본의 아마(あま)를 포함해 해녀(海女)가 우리나라에 특화된 특별한 존재라는 점이다. 2016년에 유네스코 무형유산에 등재된 것도 이런 특성을 반영한 것이다. 후렴에 나오는 '이여도 사나'에서 언급한 섬(嶼)이 바로 이어도다. 제주도를 포함한 남도(南島) 무레꾼(해녀의 남도 호칭)들의 이상향 혹은 관념 세계를 넘어 실효적 지배를 정당화해주는 중요한 무형유산이기도 하다. 가거초는 가거도에서 서쪽으로 47Km(동경 124도 35분 44초, 북위 33도 56분 20초)에 위치하고 있다. 일본은 독도를, 중국은 이어초나 가거초를 EEZ(배타적 경제수역)분쟁지역으로 삼으려 하지만 유사 이래 우리가 실효지배를 하고 있다는 점 분명하다. 그런 점에서라도 국립해양문화재연구소의 고려뱃길 탐사와 연구가 더욱 중요하다는 점 명토박아 둔다.

편집에디터 edit@jnilbo.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