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주이슈 20-3> "영산강 자연성 회복 지체된 만큼 즉각 수문 열어야"
  • 페이스북
  • 유튜브
  • 네이버
  • 인스타그램
  • 카카오플러스
검색 입력폼
일주이슈
일주이슈 20-3> "영산강 자연성 회복 지체된 만큼 즉각 수문 열어야"
환경단체 입장 들어보니||여론수렴·숙의만 2년… "즉시 시행"||"'지역 여건 고려'한 결정은 핑계"||'상시개방 승촌보'·하굿둑 해체도
  • 입력 : 2021. 01.31(일) 17:49
  • 최황지 기자
영산강 죽산보 해체를 놓고 나주시 일부 주민들과 환경단체들간의 찬반 의견이 서로 엇갈리고 있다. 사진은 나주시 영산강 죽산보 전경. 나건호 기자
대통령 직속 국가물관리위원회가 영산강 죽산보를 해체하기로 하면서 환경단체는 "결정이 지체된 만큼 (해체를) 즉각 시행하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최종 결정이 늦어지면서 영산강의 자연성 회복도 그만큼 지체됐다는 게 환경단체의 입장이다.

21개 환경단체 및 시민단체가 함께하는 '영산강살리기네트워크'는 "2019년 2월 환경부 4대강 조사평가기획위원회가 보 처리 방안을 제시한 이후 2년여 만에 내려진 결정이다"며 "당시 제시안대로 죽산보는 해체·승촌보는 상시개방으로 결론났다. 2년동안 국민여론 수렴, 영산강·섬진강유역물관리위원회 의견 등을 검토, 숙의하는 과정이었다고는 하지만 결과적으로 자연성 회복을 위한 실행은 그만큼 지체됐다"고 말했다.

●'부연조치'에 결정 늦어져

환경단체 등이 '즉각 시행'을 요구하는 배경은 그동안의 환경부 태도 때문이다. 환경부는 죽산보로 인해 물길이 막히고 저수지가 된 영산강을 재자연화시키기 위한 정책을 펼치고 있다. 그러나 죽산보의 개방, 완전개방, 해체를 놓고 '장기적 안목', '지역여건'을 고려해 결정돼야 한다는 부연조치가 항상 뒷받침되면서 보 처리 방안 확정은 지연됐었다.

물관리위원회가 죽산보의 해체를 최종적으로 결정하면서도 '장기적 안목'과 '지역 여건'을 고려해 정한다는 단서를 넣었다. 해체 시기에 대해 물관리위원회는 "환경부를 중심으로 지역주민·지자체·전문가·시민단체 등이 포함된 협의체를 구성한 뒤 의견을 모아 시기를 정할 예정이다"고 대답했다.

●환경단체 "즉각 해체"

시민단체 생각은 다르다. 시민단체는 죽산보 해체에 대한 여론조사, 물 이용 대책 방안은 이미 검토가 됐던 만큼 즉시 시행해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이들은 "'단서 조항'이 보 해체를 지체시키는 핑계로 전락될까 우려된다"며 "자연성 회복에 대한 필요성, 수질 생태계, 경제성 등 제반사항은 여러 조사를 통해 이미 판단이 됐다. 죽산보 해체 시행이 지체된다면 자연성 회복은 공염불일 뿐이다"고 강하게 말했다.

환경부의 실태조사 자료가 근거다. 환경부가 지난 2017년부터 지난해 11월까지 조사한 영산강 보 개방 모니터링 주요 결과에 따르면 죽산보는 물 체류 시간이 84% 감소, 유속은 334% 증가했으며 다양한 조류와 멸종위기동물의 쉼터가 되는 모래톱, 수변공간이 0.094㎢ ,1890㎢로 각각 증가했다.

부분개방을 통해 여름철 녹조가 감소하는 추세도 보였다. 영산강 보 별 여름철(6~9월) 평균 유해남조류 세포수 변화에 따르면 죽산보는 2013년~2017년 평균 7660cells/mL였던 것이 지난해 96% 감소해 328cells/mL를 기록했다.

환경단체는 "보 해체가 영산강의 재자연화를 돕는 만큼 하루 속히 강을 살리는 후속사업이 논의가 돼야 한다"고 주장했다. 해체 시기를 논의하는 수렴 과정은 결국 '공회전'이라는 이야기다.

●상시개방 '승촌보'도 해체해야

한발 더 나아가 상시개방으로 결정된 승촌보의 해체도 영산강의 재자연화를 위해 동반돼야 한다고 주장했다.

환경단체는 "금강 하구는 30만마리의 가창오리가 군무를 하고 있지만 영산강 하구는 물오리 몇 마리와 갈매기 몇 마리가 전부다"며 "남도민의 젖줄이었던 영산강이 4대강 사업으로 지금은 생활용수로 사용하지 못할 지경이다. 그 강이 다시 생활용수로 사용되고 하천에 환경용수를 공급될 수 있어야 만이 영산강이 다시 젖줄이라는 개념을 사용할 수 있는 강이 될 것"이라고 했다.

그러면서 "영산강의 재자연화를 위해 죽산보 즉시해체, 승촌보 완전개방을 하루 속히 시행해야 한다"고 말했다.

환경단체는 영산강이 농업용수로 사용돼 수질관리에 소홀한 만큼 영산강 상류 4개 댐(담양호·장성호·광주호·나주호)중 1개 댐은 생활용수로 시범전환해야 한다고 했다. 금호호·영암호를 포함한 영산강 하굿둑의 개방을 통해 강의 연속성과 수생태계의 건강성을 확보해야 한다고도 주장했다.

영산강 살리기 네트워크 김도형 사무처장은 "강하천은 개인의 자산이 아니라 공동의 자산이다"며 "자연은 개인적인 이익과 정치적 선동에 의해서 움직이는 것이 아니라 주민 전체가 함께 이용하는 공간이자 공동자원이라는 인식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최황지 기자

최황지 기자 orchid@jnilbo.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