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가정보원 원훈 |
7일 인수위 관계자에 따르면 국정원의 정치 개입을 막기 위해 내부 출신 인사에게 원장을 맡겨야 한다는 의견이 제시되고 있다.
권춘택 전 주미 대사관 정무 2공사가 후보로 거론된다. 권 전 공사는 박근혜 정부 때인 2013년 미 워싱턴 DC 주미 대사관에서 정무2공사(국정원 1급)로 근무했다. 그는 국정원 공채 출신으로 주미 대사관 근무 시절 미 중앙정보국(CIA)과의 협력을 담당했다. 권 전 공사는 이명박 정부 시절 원세훈 전 국정원장의 비서실장을 역임했는데 고대 출신인 김성한 전 외교부 차관이 적극 추천한 것으로 알려졌다.
국정원 출신인 변영태 전 상하이 총영사, 주영 공사를 지낸 이범찬 전 해외·북한담당 차장보도 물망에 올랐다.
이명박 정부 때 일한 김회선 전 국정원 2차장, 이명박·박근혜 양 정부에서 차장을 지낸 한기범 전 차장, 검찰 내 대표적인 공안통으로 박근혜정부 국정원에서 2차장을 지낸 김수민 변호사, 국정원 1차장을 지낸 김숙 전 유엔 대사 등도 거론되는 것으로 알려졌다.
다른 한편에서는 윤 당선인과 가까운 힘 있는 정치인이 원장을 맡아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외교관 출신으로 현역 국회의원인 조태용 국민의힘 의원이 원장 후보로 거론된다.
조 의원은 정통 외교 관료 출신으로 외교부 1차관과 청와대 국가안보실 1차장 등 외교안보 분야 요직을 역임했다. 그는 외교부 북미 1과장, 북미국장 등을 거친 외교부 내 대표적 미국통이다. 조 의원은 한반도평화교섭본부장과 북핵 6자회담 수석대표를 맡는 등 북핵 협상 경험도 있다. 조 의원은 박근혜 정부에서 청와대 국가안보실 1차장(NSC 사무처장)을 역임했다.
검찰 출신 권영세 인수위 부위원장도 국정원장 후보로 거론된다.
다만 조 의원과 권 부위원장은 모두 현역 국회의원이라 국정원장이 되려면 의원직을 내놓고 당에서도 나가야 한다. 조 의원은 비례대표 의원이라 탈당과 동시에 의원직 사퇴가 이뤄질 수 있다. 권 부위원장이 국정원장이 되려면 의원직을 사퇴하고 탈당 절차를 따로 밟아야 한다.
뉴시스 newsis@news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