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일빌딩245 시민문화체험특화프로그램 7월 행사 포스터. |
![]() 전일빌딩245의 공연 프로그램 ‘버스킹 인 더 나잇’의 6월 진행 모습. 전일빌딩245사업단 제공 |
먼저 다양한 장르의 뮤지션들의 라이브 공연 ‘버스킹 인 더 나잇’이 전일빌딩 1층 로비에서 열린다.
지난 1일 첫공연으로 뮤지컬 퍼포먼스팀 ‘바리칸토’와 국악팀 ‘보아녀’, 싱어송라이터 박주영의 무대가 펼쳐졌다.
오는 8일에는 색소포니스트 윤주승의 리사이틀(독주회)이 진행된다. 15일에는 여성 4중창 ‘라움레이디스’와 어쿠스틱 밴드 ‘페페’의 공연이 열리고, 22일에는 크로스오버 그룹 ‘아르떼 비바체’의 무대가 펼쳐진다.
마지막 주 토요일인 29일에는 팝페라 솔로 박원과 발라드 뮤지션 선진의 무대가 준비돼 있다. 이날은 ‘드럼 온 체인지’의 현란한 드럼 연주까지 이어진다.
라이브 공연 외에도 교류 음악회, 전통예술 등도 준비돼 있다. 8일에는 광주와 타 지역 아티스트들의 이색적인 콜라보 무대, 지역 교류 음악회 ‘우리’가 진행된다. 광주에서 활동하는 ‘박수용 재즈 퀸텟(5중주)’과 인천에서 활동하고 있는 ‘인천 재즈 올스타’ 밴드가 콜라보를 이뤄 무대를 꾸밀 예정이다. 전통과 현대를 넘나드는 재즈의 향연이 펼쳐진다.
또 22일에는 브랜드 공연 ‘바라는 바다’가 준비돼 있다. 전통무용과 판소리, 설장구로 구성된 한국전통예술단체 ‘황채은 예술단’이 연흥무와 교방무 등의 전통무용부터 선반 설장구, 판소리 공연까지 다채로운 전통예술을 선보인다.
전시 프로그램도 다채롭다. 먼저 조은솔 작가의 설치작품 ‘틈’을 오는 19일까지 1층 로비에서 감상할 수 있다. ‘틈’은 현실과 환상 사이 간극에서 공존하는 존재에 대해 포용과 변화의 메시지를 담고 있다. 이어 22일부터는 김동기 작가의 설치작품 ‘바위섬’과 박아론 작가의 설치작품 ‘몽돌’을 감상할 수 있다.
오는 8일부터 17일까지는 사진 콘테스트 선정작들이 전시된다. 앞서 ‘당신만의 시선 전일빌딩245’라는 주제로 ‘아트 오아시스 사진 콘테스트’가 진행됐으며 수상자 30명이 수상작을 선보인다. 전시되는 사진 작품들은 시민들의 다양한 시선으로 재구성된 전일빌딩245의 의미를 다층화한다.
오는 29일부터 내달 7일까지 3층 시민갤러리에서 김지선 작가의 첫 개인전 ‘내 생에 첫 전시’가 개최된다. ‘인간이 가진 부유하는 여러 감정들’을 표현한 작품들이 전시된다.
아이부터 어른까지 즐길 수 있는 체험프로그램 ‘액션! 아트 놀이터’를 통해 오일 파스텔 달력 만들기, 인센스(향) 스틱 만들기, 비즈 팔찌 만들기, 당근 케이크 만들기 등을 할 수 있다.
![]() 전일빌딩245의 체험 프로그램 ‘액션아트놀이터2’의 6월 진행 모습. 전일빌딩245사업단 제공 |
매주 토요일에 진행되는 증강현실 게임 ‘층층탕탕’은 증강현실 게임으로 몬스터를 잡으면서 전일빌딩 곳곳을 둘러보고 음료 할인 쿠폰까지 받을 수 있는 신개념 빌딩투어 프로그램이다.
8일과 22일에는 ‘전일 뿅뿅 오락실’을 통해 폭탄돌리기 등의 추억의 레트로 오락을 즐길 수 있다.
22일 진행되는 ‘오늘은 아빠가 제빵왕’은 중장년 아빠들이 참여해 가족들을 위한 특별한 디저트를 만들어보는 쿠킹 클래스다. 29일 열리는 플리마켓 ‘덕질 상점’에서는 광주·전남의 개성 있는 셀러 11팀의 인기 아이템을 만날 수 있다. 플리마켓 행사가 진행되는 동안 선착순으로 비치타월을 증정할 예정이다.
시민 대상의 대중강연과 인문학 토크 프로그램도 준비돼 있다. 8일 인문학 토크 ‘책 읽어주는 여자·남자’가 진행되며 화제의 SF소설 ‘휴먼의 근사치’의 저자 김나현 작가를 초청해 북콘서트를 진행한다.
15일에는 융복합 콘텐츠 강연 ‘전일245 클래스’ 진행된다. IT융합교육개발원이 준비한 이번 강연은 ‘6족 보행 로봇’을 주제로 한다. 특히 로봇을 직접 제작해보는 체험형 강연으로 이목을 끈다.
더불어 △명랑 가족 아트 놀이터 ‘하하호호’와 △오늘은 아빠가 제빵왕 △인문학 토크 ‘책 읽어주는 여자·남자’ △융복합 콘텐츠 강연 ‘전일245 클래스’는 사전 온라인 접수를 통해 선착순 참여 신청을 받는다.
전일빌딩245 시민문화체험특화프로그램 ‘쉐이킷, 전일!’은 모두 무료로 진행된다. 전일빌딩245 홈페이지( http://ccep.kr/ko/ )와 인스타그램(@jeonil_building_245_), 블로그(blog.naver.com/jeonil245_)를 통해 프로그램 내용을 확인할 수 있다. 자세한 내용은 (062-233-8211·0245)으로 문의.
도선인 기자 sunin.do@jnilbo.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