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용무 도자기사업협동조합 이사장(테라세라믹 대표)이 사무실에서 무안도자산업특구의 방향성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
정용무 무안도자기사업협동조합 이사장의 각오다. 정 이사장은 국내 1세대 생활자기 브랜드였던 ‘행남자기’에서 수십년간 생산팀장으로 일해오며 전남의 생활도자의 발전사를 지켜본 인물이다.
정 이사장은 행남자기에서 나와 지난 2010년 무안 청계농공단지에서 ‘테라세라믹’을 창업해 운영하고 있다. 테라세라믹은 유명한 생활도자 브랜드 한국도자기의 OEM(주문생산방식) 지정업체이자 자체 도자기 브랜드를 출시하는 등 중견급 세라믹 기업으로 입지를 쌓고 있다.
당시 무안 청계농공단지에는 정 이사장을 포함한 다수의 생활도자 브랜드가 입주해 있었다. 상대적으로 부지가 좁고 비싼 목포 대신, 부지가 넓고 인력을 수급하는 데에는 무안이 최적지였다. 당시 행남자기를 빠져나온 기술인력들은 대거 무안으로 유입됐다.
정 이사장은 “생활도자 관련기업들이 많고 전국 도자기 생산량의 60%를 차지함에도 불구하고 ‘무안 도자’를 아는 사람은 많지 않다. 대부분 기업 규모가 공방형 소기업 형태로 작고 사업방식이 각자도생이었기 때문이다. 그러다보니 기업들 간 출혈경쟁도 심각했다”며 “이 때문에 서로 정보도 공유하고 건강하게 발전하기 위해 무안도자기사업협동조합이 만들어졌다”고 설명했다.
협동조합 결성을 주도한 정 이사장은 “무안 농공단지에는 13곳의 세라믹기업들이 있고, 무안협동조합에는 22곳의 관련기업들이 활발하게 소통하고 있다”며 “한 곳에 집약적으로 모여있는 곳은 무안밖에 없다. 그래서 협동조합을 만들기 전에는 서로 간 경쟁이 치열했다”고 말했다.
현재 주기적인 간담회를 통해 서로 의견을 모으고 도자산업특구에 대한 제언도 무안군에 전달하고 있다. 이들은 도자산업특구 사업에 가장 필요한 것은 ‘유통채널’이라고 입을 모은다.
정 이사장은 “분청사기부터 생활자기까지 무안의 도자산업은 역사적으로나 미래발전 가능성으로나 큰 잠재력이 있지만 유통망이 전무한 실정이다”며 “전시장, 박물관, 판매장을 총망라할 수 있는 유통판매장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한해 많은 관광객들이 무안을 찾지만 관광 루트와 ‘무안 도자’가 연결되는 지점은 거의 없다. 조합은 복합도자센터를 건립하게 되면, 도자 판매와 전시 등 무안의 랜드마크가 될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하고 있다.
정 이사장은 “무안에서 메타버스·자동차 같은 첨단산업을 육성하지 못하는 것 아니냐”며 “할 수 있는 산업을 키워야 하고, 그것이 바로 무안의 세라믹(도자)이다”며 말했다.
전남도의 관심도 촉구했다. 정 이사장은 “전세계적인 흐름을 봤을 때 유럽, 일본 등은 도자를 전통기술처럼 보호하고 적극적으로 지원한다”며 “전남도가 도내 도자기업들에 대한 연구개발 예산 편성 등 지역의 뿌리산업을 육성하는 데 역할을 해주길 바란다”고 지적했다.
강진·무안·영암·목포 등 4개 시·군이 추진중인 국제도자엑스포에 대해 정 이사장은 “경기도가 이미 개최한 도자엑스포는 담을 수 있는 게 한정적이다”며 “신산업인 세라믹은 더욱 포괄적이고 산업화 가능성이 높다. 세라믹엑스포로 바꿔 대중성과 미래지향성을 모두 담아내야 한다”고 설명했다.
이 기사는 지역신문발전기금을 지원받았습니다.
글·사진=최황지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