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남일보]사설>농촌소멸 막는 국가적 대응책 필요하다
  • 페이스북
  • 유튜브
  • 네이버
  • 인스타그램
  • 카카오플러스
검색 입력폼
사설
[전남일보]사설>농촌소멸 막는 국가적 대응책 필요하다
고령화 등 실효적 대안 내놔야
  • 입력 : 2024. 01.14(일) 17:03
인구 감소와 고령화 등으로 농촌 소멸 우려가 커지면서 국가 차원의 대응책 마련이 시급하다는 분석이다. 이미 우리 사회는 인구가 줄면서 고용과 생산, 소비가 감소하고 지역의 활력도 찾아보기 어려운 실정이다. 지역소멸 우려도 나온다. 지속가능한 대한민국을 위한 새로운 대응책이 필요한 때다.

한국농촌경제연구원이 14일 발표한 ‘2024년 10대 농정 이슈’에 따르면 2020년대 들어 농촌 인구가 감소세로 전환된 가운데 인구 공동화 심화로 인한 농촌 소멸 우려가 커지고 있다. 2022년 기준 농촌 고령화율은 26.1%에 이르고 특히 행정안전부에서 지정한 89개 인구 감소 지역 중 면 지역의 65세 이상 인구 비율은 42.2%에 달할 정도로 고령화가 극심하다. 정부가 지원하는 지방소멸대응기금과 함께 농촌의 미래 인적 자원 확보와 활동 주체 양성을 위해서는 추가적인 대책이 필요하다는 게 농경연의 분석이다.

농촌인구 감소는 저출산·고령화와 관련이 깊다.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 1990년 65만 여 명에 달하던 우리나라 연간 출생아 수는 2022년 25만여 명으로 감소했다. 2022년에는 전체 출생아가 24만 9186명으로 사상 처음 25만 명을 밑돌았다. 고령화도 심각하다. 1990년 220만 여명이던 65세 이상 노인인구는, 지난 해 943만 5000여 명으로 4배 이상 늘어났다. 출산율이 획기적으로 늘어나지 않는 한 노령화에 따른 국가적 위기는 더욱 극명해 질 수 밖에 없는 상황이다.

정부는 어느 정책보다 우선해 인구감소와 고령화에 대한 실효성 있는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 결혼과 출산을 유도할 수 있도록 재정투입을 과감히 늘리고 지역의 균형발전과 소멸위기 지역의 인구 유출 방지를 위한 적극적인 정책도 시급하다. 농촌형 경제 육성을 지원해 관련 주체가 경제활동을 이어갈 수 있도록 다양한 소득 기반 확충에도 나서야 한다. 대한민국과 지역의 지속가능을 위해 지금 나서지 않는다면 대한민국의 미래는 암울할 수밖에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