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시, 제2기 기후위기대응위원회 출범
  • 페이스북
  • 유튜브
  • 네이버
  • 인스타그램
  • 카카오플러스
검색 입력폼
광주시
광주시, 제2기 기후위기대응위원회 출범
각계각층 50명·7개 분과로 구성
탄소중립·녹색성장 사업 이행 점검
  • 입력 : 2025. 05.19(월) 16:41
  • 정상아 기자 sanga.jeong@jnilbo.com
고광완 광주광역시 행정부시장이 19일 오후 시청 중회의실에서 열린 제2기 광주시 기후위기대응위원회 정기회의에 참석해 의견을 나누고 있다. 광주광역시 제공
광주광역시 기후위기 대응과 탄소중립 정책의 컨트롤타워인 ‘제2기 광주 기후위기대응위원회’가 출범, 본격 운영에 들어갔다.

광주시는 19일 시청 중회의실에서 ‘제2기 기후위기대응위원회’ 첫 정기회의를 개최했다.

제2기 기후위기대응위원회는 탄소중립 분야에 학식과 경험이 풍부한 전문가와 공공기관, 시민단체, 기업, 노동, 청년, 시의원, 공무원 등 각계각층을 대표하는 50명으로 구성됐다.

기후위기대응위원회는 광주시 기후위기대응 기본방향과 탄소중립 정책·행정계획 등에 대한 자문, 심의·의결, 평가 등 시정 전반에 걸친 탄소중립 정책 컨트롤타워를 맡는다.

위원들의 전문분야를 고려해 환경순환분과, 흡수원분과, 도시건축분과, 녹색교통분과, 에너지·산업분과, 기후적응분과, 실천분과 등 7개 분과위원회로 구분해 운영된다.

제2기 위원회는 이날 회의에서 지난해 광주시가 수립한 ‘광주 탄소중립·녹색성장 기본계획’의 지난해 이행사항 점검 결과를 심의했다. 심의 결과는 대통령 직속 2050 탄소중립 녹색성장위원회에 제출할 예정이다.

광주시는 지난해 4월 ‘탄소중립·녹색성장 10개년 기본계획(2024~2033년)’을 수립, 발표했다. 기본계획에 따르면 광주시는 2033년까지 온실가스 배출량을 2018년 대비 45% 감축하고, 2045년까지 탄소중립을 실현하는 것이 목표다. 이를 위해 광주시는 2033년까지 총 3조6341억원의 예산을 투입, 11개 부문 128개 세부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지난해 탄소중립 정책 사업으로 총 5816억7200만원을 투입해 128건을 추진했다. 이 중 92개 사업은 목표를 달성했고, 30개 사업은 정상 추진 중이다. 나머지 6건은 사업이 지연되거나 미달성 중이다.

온실가스 감축 사업은 당초 목표인 25만6000톤CO2eq(이산화탄소환산량) 보다 7003톤CO2eq을 추가 감축, 총 26만2603톤CO2eq을 줄이는 성과를 보였다. 이는 수령 30년 된 소나무 2885만 그루의 1년 간 탄소 흡수량과 같다.

특히 산업 부문의 ‘기업탄소액션’과 건물 부문의 ‘탄소중립 포인트제(에너지) 운영’ 성과가 두드러졌다.

‘기업탄소액션’은 전국 최초로 온실가스 비규제 중소·중견기업의 자발적 온실가스 감축활동 지원과 배출권 모의거래를 실시하는 사업이다. 제도 시행 첫해인 지난해 총 3차례 모의거래를 실시했다. 그 결과, 지역기업 12개사는 3년 평균 대비(2020년~2022년) 온실가스 1638톤CO2eq을 감축했다. 이는 수령 30년 된 소나무 18만 그루가 1년간 흡수하는 탄소 흡수량과 같다.

‘탄소중립포인트제(에너지)’는 가정용 또는 상업용 건물을 대상으로 최근 2년 에너지(전기·상수도·도시가스) 사용량과 현재 사용량을 비교해 5% 이상 절감하면 감축률에 따라 연간 최대 40만원의 인센티브를 지급하는 제도다. 지난해 광주지역 전체 66만여세대 중 56%인 37만여세대가 가입해 전국 최고 가입률을 기록했고, 연간 8만7891톤CO2eq의 온실가스를 감축했다. 이는 수령 30년 된 소나무 966만 그루의 1년간 탄소 흡수량이다.

고광완 행정부시장은 “기후위기 대응과 탄소중립 실현은 우리의 당면 과제이다”며 “2045년 탄소중립 달성을 위한 기후위기대응위원회의 중추적 역할을 기대한다”고 말했다.
정상아 기자 sanga.jeong@jnilbo.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