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5일 광산구 등에 따르면 2020년 2월부터 2023년 6월까지 하남산단 지하수토양오염을 한국농어촌공사에 의뢰해 조사한 결과 171개 지점 지하수 시료 657개 중 184개 시료에서 발암물질인 트라이클로로에틸렌(TCE)과 테트라클로로에틸렌(PCE)이 기준치를 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농도가 높은 지역에서는 기준치의 466배가 넘는 TCE와 284배 넘는 PCE가 각각 검출됐고 한다. 금속세정제와 접착제 첨가제, 페인트 제거제, 농약 등에 사용되는 TCE와 드라이클리닝이나 금속부품 세정제 등에 이용되는 PCE는 유독성 발암물질로 인체에 치명적인 영향을 미친다.
지하수는 시민 모두가 이용하는 물로 일상 생활에서 밀접하게 사용된다. 특히 보고서는 오염된 지하수가 주거지역을 거쳐 풍영정천 방향으로 흐를 수 있다는 시뮬레이션 결과도 제시했다고 한다. 산업단지의 오염이 주민들의 생활 터전으로 확산될 위험이 있다는 경고다. 하지만 광산구는 2023년 7월 보고서를 받고서도 현재까지 2년간 아무런 조치를 하지 않았다고 한다. 지하수 오염이 확인된 즉시 조치해야 하고 정화가 완료될 때까지 지속되도록 조치해야 한다는 오염 확산 방지대책을 지키지 않은 셈이다. 수질 정화를 위한 대책도 전무했다.
광산구와 광주시, 환경당국은 하남산단 지하수 오염에 대해 면밀한 조사를 거쳐 특단의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 발암 물질을 사용하는 업체에 대한 관리도 더욱 철저해야 한다. 어떤 물질을 언제, 어디서, 얼마나 사용했는지 정확히 기록하고 관리해야 한다. 업체들의 각성도 필요하다. 한번 오염된 환경을 되살리기 위해서는 비용과 시간이 100배, 1000배 이상임을 명심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