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16일 전남도에 따르면, 김영록 전남도지사는 이날 대통령실을 방문해 우상호 정무수석, 하정우 AI미래기획수석과 잇따라 심층 면담을 진행했다.
김 지사는 이 자리에서 △전남 서남권 에너지 혁신성장벨트 조성 △남해안권 발전 특별법 제정 △2028년 유엔기후변화협약당사국총회(COP33) 여수 유치 등 지역균형발전과 전남의 미래 성장을 위한 핵심 현안을 집중 건의했다.
전남도는 최근 ‘전남 서남권 에너지 혁신성장벨트’ 프로젝트를 추진 중이다. 목포·영암·해남·무안 등 서남권 4개 시군을 대상으로 풍부한 재생에너지 자원을 기반으로 한 RE100 특화산단과 대규모 데이터센터 클러스터, 해상풍력 클러스터를 구축하고, 이를 뒷받침할 배후 신도시를 조성해 인구 50만 명 규모의 신성장 거점으로 육성하겠다는 계획이다.
김 지사는 특히 대통령실이 발표한 ‘RE100 산업단지 정책’과 관련해 ‘RE100 산업단지 및 에너지 신도시 조성과 지원에 관한 특별법’의 조속한 제정을 요청했다. 동시에 전남 서남권을 RE100 특화산단으로 지정해 줄 것을 건의하고, 사업의 필수 기반인 전력계통망 조기 구축의 필요성도 집중 설명했다.
또한, 남해안권을 새로운 국가 성장축으로 육성하기 위한 ‘남해안권 발전 특별법’ 제정과 함께 전남에 ‘남해안 종합개발청’을 설립해 줄 것을 제안했다.
2028년 개최를 목표로 하는 유엔기후변화협약당사국총회(COP33)와 관련해서는 새 정부의 국정과제로 반영해 줄 것을 요청함과 동시에 여수를 중심으로 한 남해안 남중권을 개최 도시로 우선 지정해 줄 것을 건의했다.
이와 함께 위기를 겪고 있는 동부권 산업의 재편을 위해 광양·순천 일원에 120만 평 규모의 ‘미래첨단소재 국가산단’ 조성과 ‘이차전지 국가첨단전략산업 특화단지’ 지정 필요성도 피력했다.석유화학 및 철강 산업의 구조조정과 경쟁력 강화를 위한 ‘석유화학·철강산업 대전환 메가프로젝트’의 추진 필요성도 덧붙였다.
김영록 지사는 “이재명 정부의 출범은 전남이 국가 성장의 핵심 거점으로 도약할 절호의 기회”라며 “대통령실에 건의한 전남의 미래 핵심 사업들이 차질 없이 추진될 것으로 확신한다. 정부 부처와의 긴밀한 협력을 통해 관련 법과 제도 정비는 물론 예산 확보까지 면밀히 조율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오지현 기자 jihyun.oh@jnilbo.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