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그림 그리는 의대 교수'의 작품을 통해 환자들에게 희망과 용기를 전한다. 서양화가인 송주현 전남대학교 의과대학 교수가 내달 5일까지 전남대병원 1동1층 CNUH 갤러리에서 환자쾌유를 기원하는 작품 전시회을 갖는다. CNUH 갤러리에서 의과대학 교수 출신 화가가 전시회를 갖는 경우는 지난 2013년 오픈한 이후 처음이다. 이번 전시회는 'Silva ; 치유의 숲'을 주제로 꽃을 소재로 한 작품 20여점이 선보인다. 짙은 색 바탕에 화려한 색채의 꽃을 표현한 작픔들은 관람객에게 희망과 치유의 메시지를 강하게 전한다. 특히 '치유의 숲...
박상지 기자2021.08.23 16:13임명희 작가의 개인전 '파동과 입자사이'가 서울 인사동에 위치한 G&J갤러리에서 오는 30일까지 개최된다. 이번 전시에서는 인간의 움직임을 양자역학의 관점에서 바라보고 해석한 실험적인 작품들을 선보인다. 임 작가는 육체와 정신의 이중구조를 가진 사람의 일상의 움직임에서 미시적 세계의 양자의 속성을 발견하고자 파동과 입자의 관점에서 작업에 접근했다고 한다. 임 작가는 한 인간이 일상에서 보여주는 수많은 동작과 이미지는 미시세계의 양자의 속성과 같이 순간순간 파동처럼 변한다고 생각했고 이 생각을 작품으로 관철해 표현했다. 작품의 표현방...
박상지 기자2021.08.19 16:00한희원 작 '트빌리시의 밤풍경' 양림동을 무대로 활동해 온 작가들의 전시가 독일에서 진행되고 있는 중이다. 오는 10월30일까지 독일 쉬슬리츠와 뮌헨에서 한희원, 이민작가의 개인전이 개최된다. '양림동 화가'를 대표하는 한희원 작가는 유년시절부터 줄곧 양림동에 머물며 작품활동을 하고있다. 지난 2015년에는 오래된 가옥을 리모델링해 '한희원 미술관'을 개관, 관람객을 맞고있다. 양림동 특유의 기독교적 감성을 담은 작품활동 외에도 한 작가는 '광주의 몽마르트'라고 불리우는 양림동의 특색을 살려 인문학축제 '굿모닝 양림'과 예술인, 상인, 주민이 함께 만드는 골목미술제 '양림골목비엔날레'를 기획하기도 했다. '판타블로 기법'으로 독창적인 작업세계를 구축한 이민 작가의 대표작 중엔 양림동을 소재로 한 작품이 유독 많다. 화순 출신으로 현재는 경기도에 작업실을 두고있지만, 청소년기를 ...
박상지 기자2021.08.22 16:30지역아시아작가전 '친애하는 빅 브라더: 다시는 결코 혼자일 수 없음에 대하여'에 참여하는 임용현 작가의 작품. ACC 제공 코로나19로 인한 팬데믹은 전세계적으로 낯선문화를 형성했다. '안전'을 명분으로 한 국가의 감시통제와 사생활 침해가 대표적이다. 또 다른 문화인 '비대면사회'는 일상에 로봇을 투입시켰다. 코로나19가 야기한 세계와 코로나19가 앞당긴 세계에 대해 고찰해 볼 수 있는 전시가 국립아시아문화전당(이하 ACC)에 마련된다. 먼저 11월 14일까지 문화창조원 복합6관에서 진행중인 '친애하는 빅 브라더: 다시는 결코 혼자일 수 없음에 대하여'는 감시통제 사회의 양면을 둘러싼 공통되면서도 서로 다른 관점들을 동시대 아시아 시각 예술을 통해 고찰하고 공유하는 자리다. 지역아시아작가전으로 광주와 아시아 작가들의 작품이 출품된 이 전시는 동시대 사회적 이슈와 담론을 전달하고...
박상지 기자2021.08.16 16:23하용주 작 ' Blind 45-1' 하용주 작가는 전통적인 동양화 기법의 형식과 함께 현대 회화의 소재를 찾아 그만의 특별함을 구축해 가고 있다. 특히 그의 작업을 통해 타인의 시선에 대한 성찰을 사회 전반으로 확장해 '보이는 것과 보이지 않는 것'이라는 주제를 지속적으로 탐구해왔다. 이러한 탐구는 그려내려는 부분과 애써 감추려는 부분이 혼재된 그의 화폭에서도 엿볼 수 있다. 전통형식에 현대적 소재가 가미된 하 작가의 작업은 지난 2019년 광주신세계미술제에서 대상을 수상하며 독창성과 예술성을 인정받았다. 광주신세계미술제 심사위원은 "그동안 다수의 전시를 통해 축적된 방대한 작업량과, 일관된 주제의식, 그리고 부단한 형식적 실험이 다다르게 한 개성적 화면이 돋보였다"며 "예술 작품은 동시대에 의미 있는 '내용'이 그에 적합하고 완성도 있는 '형식'으로 표현되었을 때 높은 가치를...
박상지 기자2021.08.12 16:30제9회 광주디자인비엔날레 명예 홍보대사로 세계적 소프라노 조수미에 이어 K팝 분야에서 국제적 인지도가 높은 아티스트 알렉사가 위촉됐다. 명예홍보대사 위촉은 비대면으로 진행됐으며 이용섭 시장과 알렉사는 영상을 통해 위촉패 수여와 소감을 전했다. 알렉사는 미국 국적으로 국내 지비레이블 소속 가수로 활동 중이다. 2019년 데뷔곡 '밤(Bomb)'으로 아이튠스 K팝 차트 6개국(체코, 아랍에미리트, 스위스, 노르웨이, 이탈리아, 벨기에) 톱5에 오른 바 있다. 특히, 세계적 작곡가 그룹 '디자인 뮤직'이 참여한 '레볼루션'은 알렉사의 강...
박상지 기자2021.08.10 16:26유벅 작 무제. 도화헌 미술관 자연에 천착해 온 유벅작가의 작업 소재는 다소 독특하다. 10년이 넘도록 그가 주목해 온 소재는 곤충이다. 매년 여름 야외에서 곤충을 모으는 작업을 하고 있는 그는 예명마저 벌레와 곤충을 의미하는 '벅(bug)'을 사용한다. 곤충은 생명체를 가진 자연의 상징으로 손색이 없다는 것이 그의 생각이다. 유리나 캔버스에 곤충들을 유혹하는 물질들을 특정한 형상으로 바른 뒤, 주간엔 냄새로, 야간엔 빛으로 곤충을 유인해 긴 시간동안 각양각색의 날벌레들을 모은다. 유 작가의 작업은 오랜 시간 집충의 과정을 담아낸다는 점에서 과정예술이라고 볼 수 있으며 자연을 대상으로 한다는 점에선 자연예술이기도 하다. 현재 유 작가는 고흥반도 끝자락에 위치한 도화헌 미술관 레지던시에 참여중이다. 전남문화재단 공간연계형 창작활동 지원사업을 통해 레지던시에 참여 해 온 그가 오는...
박상지 기자2021.08.04 16:13히말라야를 소재로 한 강찬모 작가의 작품. 김냇과 제공 광주복합문화공간 김냇과가 히말라야를 소재로 작업을 선보이고 있는 강찬모(72)작가를 초청, 부산 해운대 영무파라드 호텔 '갤러리 더코르소 & 김냇과'에서 관련작 21점을 선보인다. 특히 강 작가는 장지 위에 토분, 먹, 천연안료, 수간채색을 사용하는 등 동양화의 전통적인 색료 채취방법으로 작업해 왔다. 그가 히말라야 소재의 작품을 선보이게 된 것은 수년 전 해당장소를 여행 하면서부터다. 산의 형상이 주는 현실적인 구체성과 밤하늘의 쏟아지는 별들이 주는 몽환적인 초현실이 어우러져 마치 거대한 오케스트라가 연주되는듯 했다고 한다. 당시의 감동은 이후 강 작가의 캔버스 위에 고스란히 구현됐다. 히말라야에서 예술의 역할과 자신이 전하고자 하는 것을 고민하다가 히말라야의 산과 그 산으로 가는 길목의 설산에 주목하기에 이르렀다...
박상지 기자2021.08.02 16:31이승연 작 '당신은 누군가의 바다2' 기후위기, 질병, 환경문제 등 오늘날 인류가 처한 상황에 대한 반성과 미래적 회복에 대한 담론이 미디어아트를 통해 펼쳐진다. 광주문화재단 미디어 338에서는 오는 9월10일까지 유네스코 비전 연계 릴레이전으로 '리커버리(Recovery): 미래적 회복' 두번째 전시가 진행된다. 이번 릴레이 전시는 유네스코 미디어아트 창의도시 광주로서 유네스코 기조인 지속가능발전목표(Sustainable Development Goals, SDGs)를 기반으로 기획됐다. 전시에는 김안나, 이승연 작가가 참여해 기후, 날씨, 환경 등을 비롯한 우리 사회가 직면한 다양한 문제를 예술형식을 통해 표현한다. 전시는 작가별 개인전시와 시민참여형 퍼포먼스 등으로 구성돼 있다. 첫 번째 전시로는 지난 6월1일부터 7월16일까지 진행된 김안나 작가 '비욘드 휴먼(Be...
박상지 기자2021.08.02 16:31'디-레볼루션(d-Revolution)' 주제의 2021광주디자인비엔날레 개막이 한 달 앞으로 다가옴에 따라 작품 설치 등 본격적인 행사 준비에 들어간다. 광주디자인진흥원은 다음달 1일부터 10월31일까지 광주비엔날레관 등에서 열리는 2021광주디자인비엔날레는 인공지능으로 대변되는 4차 산업혁명 속에서 기술과 감성의 의미있는 콜라보를 디자인을 통해 선보인다. 행사의 주제인 디-레볼루션은 디자인(Design)과 레볼루션(Revolution)의 합성어로 디자인을 통해 새로운 시대를 이끈다는 뜻이 담겨있다. 행사는 5개 본 전시와 특별전...
박상지 기자2021.08.01 16:08은암미술관에서 오는 8월 20일까지 한‧중 예술교류전 '기억과 유대(記憶與紐帶)'가 개최된다. 이번 전시에 참여하는 작가들은 중국 충칭(重慶)직할시의 서남(西南)대학 교수진과 중국 유명 중견작가들이며, 참여작가들은 자신의 고유한 표현방식으로 재해석한 평면회화‧조소‧영상매체 등 다양한 작품들을 통해서 충칭의 항일정신과 현재의 도시 이미지 등을 선보이게 된다. 중국 충칭은 대한민국과 같은 아픔을 가지고 있지만 재도약해 성장을 이룬 도시다. 백범 김구 선생과 애국지사들이 해방 직전까지 체류했던 곳이기도 하다. 대한민국과 중국의 항일정신에...
박상지 기자2021.07.26 16:43홍윤리 광주시립미술관 학예연구사가 미국 뉴욕에 위치한 비영리 미술인 지원단체 알재단 (AHL Foundation)의 '2021 알재단-최월희 메모리얼 작가 그랜트 (AHL-Wolhee Choe Memorial Art Writers Grant)' 수상자로 선정됐다. '알재단-최월희 메모리얼 작가 그랜트'는 2017년부터 30여 년 간 뉴욕대 폴리텍대학에서 영문학 교수로 재직하며 한국문학과 미술가를 미국에 널리 알리는데 크게 기여한 고(故) 최월희 뉴욕대(NYU) 명예교수의 업적을 기리기 위해 제정됐다. 최 교수의 남편인 고 로버트 훅...
박상지 기자2021.07.25 15:51문소현 작 '터지는 폭죽들' 하정웅청년작가초대전인 '빛'전은 21년 전 하정웅 선생의 메세나 정신을 기리고 광주시립미술관의 변혁의 돌파구로서 청년작가 지원과 발굴을 위한 제도적 운영을 위해 개최됐다. 지난 2001년 첫 전시 이래 '빛'전을 거쳐간 청년 작가들 중 일부는 중견작가로 성장해 중앙과 지역에서 왕성한 활동을 펼치며 한국 미술계의 버팀목 역할을 하고 있고, 여러 초대작가들 역시 개성적이며 실험적인 미술로 활발한 활동을 전개해가고 있다. 올해로 21회를 맞는 '빛 2021' 역시 전국에서 주목받고 있는 전도유망한 청년작가 4인이 초대됐다. 문소현(경기), 정정하(광주), 이윤희(대전), 문지영(부산) 작가가 그 주인공이다. 다양한 장르로 각각의 삶에 대한 성찰과 이야기를 담은 선정작가들의 작품이 '어떤날, 어떤 이야기'를 주제로 24일부터 11월28일까지 광주시립미술...
박상지 기자2021.07.22 15:52서상희 작 '메타_가든 속 가상정원 21_ver' 코로나19로 비대면 문화가 확산되면서 인터넷 기술을 상징하는, 새롭고 강력한 '메타버스(metaverse)'가 주목받고 있는 가운데 현대미술에 첨단과학기술이 접목된 '가상'의 예술정원이 광주시립미술관에 펼쳐진다. 광주시립미술관은 광주디자인비엔날레기념 특별기획으로 '메타_가든'전을 오는 10월31일까지 미술관 본관 제1,2전시실에서 개최한다. 이번 전시는 AI, 빅데이터를 기반으로 작업해오고 있는 금민정, 노상희, 박고은, 소수빈 작가와 디지털 영상화 설치를 중심으로 한 김형숙, 박상화, 서상희, 손봉채, 윤제호, 이진준, 정문열 작가 등 모두 11명이 참여한다. 이번 '메타_가든'전은 '가상, 초월' 등을 뜻하는 '메타(meta)'와 우주를 뜻하는 '유니버스(universe)'의 합성어로 현실세계와 같은 사회 경제 문화활동이 이...
박상지 기자2021.07.20 16:30이강하 미술관 전시장 전경. 이강하 미술관 제공 지난 2월 22일(현지시각) 퍼서비이런스(Perseverance)가 화성에 착륙했다. 미국항공우주국(NASA)은 로버(이동형탐사로봇) 퍼서비이런스가 화성으로 내려가는 순간을 찍은 동영상을 전 세계에 공개했다. 화성 궤도에 진입한지 하루가 지난 11일 5시 36분 2만4700㎞ 고도에서 촬영한 것이다. 동영상에는 신비로우면서 호기심을 자극하는 화성의 모습들로 가득차 있었다. 초식성 공룡을 닮은 흥미로운 암석에서부터, 충돌로 인해 다른곳에서 떨어진 것으로 추정되는 기암괴석, 마치 하트를 안고 날아가는 천사를 닮은 화성 남극의 모습 등 화성의 모습을 본 네티즌들은 상상력을 동원해 의미부여를 했다. 알 수 없는 '미래'를 향한 인간들의 시도와 노력은 일정부분에서 '예술'과 닮아있지만, 미지의 세계에 대한 인간의 상상력과 아름다움 그리고 ...
박상지 기자2021.07.11 15:4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