金 연일 '경제통합'… 李와 주도권싸움 나서나
  • 페이스북
  • 유튜브
  • 네이버
  • 인스타그램
  • 카카오플러스
검색 입력폼
광주시
金 연일 '경제통합'… 李와 주도권싸움 나서나
전북 포함… 도의회서 또 강조 ||통합 공감… 다른 방법론 ‘응수’ ||경제에서 행정통합 대구·경북 ||김 “8기때 추진” 시기 조절론도
  • 입력 : 2020. 10.15(목) 18:35
  • 홍성장 기자
지난해 열렸던 광주·전남 상생발전위원회에서 (사진 오른쪽부터) 김익주 광주시의회 행정자치위원장, 장재성 광주시의회 부의장, 이용섭 광주시장, 김영록 전남도지사가 손을 맞잡고 기념사진을 촬영하고 있다.뉴시스
김영록 전남지사가 연일 '경제통합'을 강조하고 나서면서 배경에 관심이 쏠린다. '경제통합'은 이용섭 광주시장이 제안한 '행정통합'과는 다소 다른 의미의 통합이다.

수도권 '블랙홀' 등에 맞서 '한데 뭉친다'는 것에는 서로 같은 맥락이지만, 방법론에서 차이가 있다. 이 탓에 김영록 지사와 이용섭 광주시장 간 통합 논의를 둘러싼 본격적인 '주도권 싸움'이 시작됐다는 분석도 나오고 있다.

김영록 전남지사는 15일 전남도의회에서 열린 도정질문에서 이민준 의원의 '통합여론에 대한 전남도의 입장'에 대해 "완전한 행정통합이 어렵다고 하면 전북까지 포함한 메가시티 경제통합을 구축할 필요가 있다"고 했다.

전날 밝혔던 경제통합보다 한발 더 나아간 발언이다. 김 지사는 전날 기자간담회에서 "통합이 어려우면 공동 기구를 만들어 경제권 통합을 이룰 필요가 있다"고 했다.

하지만 이날 경제권 통합에 대해 광주와 전남은 물론 전북까지 포함한 '메가시티'의 구체적인 방법론을 제시한 것이다. 경남도가 중심이 돼 추진 중인 '부울경 메가시티'의 호남판 격인 셈이다. '부울경 메가시티'는 부산과 울산, 경남을 하나의 광역경제권으로 묶는 경제적 통합협의체다.

이용섭 시장이 제안한 '행정통합'과는 조금 다른 의미다. 이용섭 시장의 행정통합은 대구·경북이 추진 중인 '행정통합'과 같은 방식이다.

영남권에선 동시에 '실천적 행동'으로 진행 중인 경제통합과 행정통합이 광주와 전남에선 두 수장이 통합의 방식으로 각각 들고나와 맞서고 있는 모양새다.

그러나 좀 더 들여다보면 경제통합과 행정통합은 '한 궤'다.

대구·경북의 행정통합 논의가 좋은 예다.

대구·경북의 통합에 대한 본격적인 논의가 시작된 것은 2001년이다. 대구광역시로 개칭된 1995년부터 통합 논의가 이뤄지다 2001년 지역 경제계 등이 참여하는 '대구경북통합준비위원회'를 발족하는 등 실천적 행동으로 추진되기 시작했다.

이후 논의가 더욱 실천적 행동으로 전환된 것은 지난 2006년이다.

이때 나온 것이 경제통합이다.

행정통합이 지역뿐만 아니라 중앙정부, 나아가 정치권의 중지까지 모아야 할 과제로 시간이 오래 걸린다는 판단에서였다. 대구경북 경제통합 MOU(양해각서)까지 체결했다. 이후 '대구경북 한뿌리 상생위원회' 활동으로 이어졌고, 지난해 이철우 경북지사가 '대구경북 행정통합'을 공식 제안하면서 구체화되고 있다.

행정통합에 앞서 전 단계로 경제통합이 추진된 모양새다. 양해각서와 대협력을 바탕으로 이뤄지는 경제통합이 제도적 기반이 취약해 강력한 추진력을 발휘하기 어렵다는 판단에서 한 발 더 나간 것이 행정통합이다.

이용섭 시장과 김영록 지사가 '주도권 싸움'을 벌이고 있다는 분석이 나오는 것도 이런 배경 때문이다.

김영록 지사의 "통합 논의는 시·도민 화합과 소통 속에 민간 중심으로 이뤄져야 하고, 소수 의견을 존중하면서 민심 분열과 소모적 논쟁을 지양하고 정치성을 배제해야 한다"는 발언도 같은 맥락으로 읽힌다. 김영록 지사는 "현재는 코로나19 방역과 지역경제 회생에 집중해야 한다"며 "행정통합은 1단계로 광주전남연구원이 방법과 절차 등을 연구하면서 시·도민 의견을 수렴하고, 2단계로 민선 8기에 공론화위원회를 구성하는 것이 타당하다"고도 했다.

이용섭 시장이 제안한 '행정통합'에 대해 김영록 지사가 도정질문 답변을 통해 '전북을 포함한 메가시티 경제통합'으로 응수한 셈이다.





홍성장 기자 seongjang.hong@jnilbo.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