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곳 중 1곳 늑장 공사"...주민들 전전긍긍
  • 페이스북
  • 유튜브
  • 네이버
  • 인스타그램
  • 카카오플러스
검색 입력폼
전남도
'4곳 중 1곳 늑장 공사"...주민들 전전긍긍
2048곳 중 522곳 ‘공사중’||착공 조차 못한 곳도 상당수||코로나19 탓 시군 예산 바닥||자체 응급복구 엄두도 못내||
  • 입력 : 2021. 06.17(목) 16:04
  • 김진영 기자
집중호우 영향으로 나주시 다시면 문평천의 제방이 붕괴된 가운데 지난해 8월 11일 현장 관계자들이 긴급복구작업을 펼치고 있다. 나건호 기자


본격적인 장마가 다가오고 있지만 지난해 엄청난 피해를 입은 전남 수해 현장은 여전히 복구되지 않고 있다. 도내 수해 현장 4곳 중 1곳이 복구 중이거나 착공 조차 못하고 있어 수해 위험에 고스란히 노출되고 있다. 장마 이전에 복구 완료가 어려운 수해 피해지역 주민들은 지난해 악몽이 되살아나지 않을까 전전긍긍하고 있다.

● 수해 복구현장 25% 공사 중

17일 전남도에 따르면 지난해 7월 28일부터 8월 11일까지 시간당 최대 87㎜에 달하는 기록적 집중호우로 11명이 목숨을 잃고 1984억원에 달하는 재산피해가 발생했다. 복구비만 9504억원이 투입됐다.

전남도는 지난해 피해지역 2046곳을 선정해 복구공사에 착수했다. 2006곳은 '원상 복구'가 이뤄졌지만 522곳이 당초 계획했던 올해 장마 이전까지 복구 완료가 이뤄지지 못하고 있다. 아예 착공도 못한 곳도 상당수이다.

심지어 재발 방지 대책까지 포함한 항구복구 공사가 이뤄지는 40곳은 더욱 심각하다. 17곳은 이제 막 공사에 착수했고, 나머지 23곳은 아직 첫 삽도 떼지 못한 형편이다. 하천 기본계획 수립, 관계기관 협의 등 사전행정 절차 이행으로만 시간을 보내고 있다.

미복구율이 25.5%에 달한데는 늑장 복구 예산지급이 원인이 되고 있다. 수해피해 발생 4개월 후인 지난 1월 예산 편성, 업체 선정 등의 절차로 지난 4월에서야 공사가 이뤄졌다.

전남도 관계자는 "예산이 먼저 확보돼야 수해 피해 복구 작업에 착수할 수 있는데 행안부에서 교부금 지급을 결정한 것이 올 초"라며 "긴급하게 설계를 발주하고 용역을 실시했지만 계약자 선정 등 복잡한 행정 절차를 거치다 보니 지난 4월에야 복구공사에 착수할 수 있었다"고 해명했다.

특히 "항구 복구의 경우는 지난해 9월에야 복구 계획이 확정됐다"며 "예산 편성부터 설계발주까지 2개월이 넘는 시간이 소요됐고 이후 하천 기본계획 변경과 영산강 환경유역청의 환경영향평가, 중앙부처의 설계 심의, 문화재 조사 등 복잡한 사전 행정절차를 거치다니 보니 공사에 착수하지 못하게 된 것"이라고 설명했다.

● 선복구·후집행 등 절차 간소화 시급

상황이 이렇다 보니 대부분 수해 피해 지역이 그대로 방치된 채 또다시 장마를 맞이하면서 추가 피해도 우려되는 상황이다.

전남도는 피해 발생 우려가 있는 지역에 대해서는 각 시군 예산을 먼저 들이는 방식으로 응급 복구에 착수하도록 독려하고 있지만, 코로나19 방역 대책 등으로 지자체 씀씀이가 늘면서 복구공사에 엄두를 내지 못하는 형편이다. 이 때문에 전남도의 지시대로 시·군이 자체 예산으로 응급 복구에 착수한 현장은 4곳에 불과하다.

전남도는 장마 시작 전까지 수해복구 작업이 최대한 완료될 수 있도록 행정력을 총동원한다는 방침이다.

전남도 관계자는 "수해복구 현장을 찾아다니며 취약구간 우선 시공, 시설 보강 등 재피해 방지에 속도를 낼 것을 독려하고 있다"며 "장마가 시작되기 전까지 공사를 마무리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매년 수해피해시 늑장복구는 반복될 수 밖에 없어서 정부의 재해복구 예산지원 확대와 행정절차 개선 등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전남도 관계자는 "수해가 발생했다고 해서 용역을 바로 발주할 수 없는 탓에 피해 복구까지 긴 기간이 소요될 수밖에 없다"며 "수해 복구공사와 관련해 복잡한 행정절차를 간소화해줄 것을 중앙부처에 건의할 방침"이라고 말했다.

김진영 기자 jinyoung@jnilbo.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