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주이슈 90-1> 지역 경기지표 ‘악화일로’… 복합경제위기에 휘청
  • 페이스북
  • 유튜브
  • 네이버
  • 인스타그램
  • 카카오플러스
검색 입력폼
일주이슈
일주이슈 90-1> 지역 경기지표 ‘악화일로’… 복합경제위기에 휘청
글로벌 경기 둔화·내수 부진 장기화
제조·건설 지역주력산업 침체 심화
반도체 등 수출 급감… 생산도 감소
소비자물가 광주만 5%대 고공행진
경기부양·금융 지원·규제 개선 시급
  • 입력 : 2023. 03.12(일) 16:37
  • 최권범 기자 kwonbeom.choi@jnilbo.com
광양항 수출 컨테이너 부두. 전남도 제공
광주·전남 지역경제가 위기다.

글로벌 경기침체와 내수 둔화가 장기화되면서 지역 제조업의 수출·생산 ‘동반 부진’ 현상이 심화되고, 건설산업은 역대 최악의 업황 속에서 업체들의 채산성이 급속도로 악화되고 있다. 농축수산업도 소비 위축에 따른 판매 부진에 생산비용 상승까지 겹쳐 농가들의 어려움이 가중되는 등 지역경제가 총체적 난국이다.

경기는 갈수록 악화되고 물가는 끊임없이 오르면서 복합적인 경제위기 신호가 곳곳에서 감지되고 있어 특단의 경기부양책 마련이 시급한 상황이다.

12일 한국은행 광주전남본부, 호남지방통계청, 광주본부세관 등 지역 주요 경제기관들이 최근 내놓은 경제동향 자료를 종합해보면 수출, 생산, 물가, 소비 등 각종 경기 지표가 악화일로다.

우선 지역경제를 이끄는 수출과 생산이 지역 주력 품목의 부진으로 크게 악화됐다.

올 들어 1월 광주·전남지역 수출은 전년 동월 대비 8.5% 감소한 46억1300만 달러를 기록했다. 수입은 41억6200만 달러로, 무역수지는 4억5100만 달러 흑자를 나타냈다. 수출은 전달 49억2600만 달러와 비교해도 6.3% 감소했고, 무역수지 흑자 규모는 전년 7억4800만 달러 대비 39.7%나 줄었다. 수출은 지난해 7월 62억6900만 달러로 정점을 찍은 뒤 내리막길을 걷다 11월부터는 50억 달러 아래로 쪼그라 들었다.

수출 감소는 광주·전남의 주력 수출품인 반도체, 가전, 철강 등의 부진이 큰 원인으로 작용했다. 반도체의 경우 지난 1월 수출액은 3억9266만 달러로, 지난해 같은 달 4억6216만 달러에 비해 15%나 급감했다.

수출이 줄면서 생산도 감소했다. 자동차를 비롯해 전기장비, 섬유제품, 화학제품, 1차금속 등 주력 업종의 타격이 컸는데, 지난 1월 광주지역 광공업 생산은 지난해 같은 달 대비 1.6% 감소했고, 전남지역은 10.3%나 낮아졌다.

지역 건설업은 주택건설경기 침체 여파로 직격탄을 맞았다.

지난해 광주·전남·전북 등 호남권 건설수주액은 16조1575억원으로 전년 대비 6.7% 감소했다. 특히 지난해 4분기 광주지역 수주액은 5071억원으로 전년 동분기 대비 74.9%나 줄어들며 역대 최고 감소율을 보였다.

국내 건설공사 총수주액에서 차지하는 비중도 미미한 실정이다. 지난 1월 전국 건설업체의 총수주액 17조4912억원 가운데 광주지역 주요 종합건설업체의 건설수주액은 겨우 5894억원으로 비중은 3.4%에 그쳤다. 전남 역시 3402억원으로 불과 1.9%의 비중을 보였다.

부동산 시장에서도 대출금리 상승과 매수심리 위축 등으로 인해 아파트 거래 감소, 미분양 증가, 집값 하락 등 부진이 이어지고 있다.

농축수산업 역시 부진을 면치 못하고 있다. 농산물의 경우 월동채소 공급이 감소했음에도 소비심리 위축으로 예년대비 출하액이 큰 폭으로 줄었고, 만감류 판매도 부진한 상황이다. 축산업은 사육두수 증가와 사료값 상승, 도매가 하락 등으로 큰 어려움을 겪고 있고, 수산업도 어획량 감소와 함께 유류비·양식장 운영비 증가, 이자 부담 등으로 업황 부진이 지속되고 있다.

여기에 지역 소비자물가는 고공행진이다. 지난달 전국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10개월 만에 4%대로 내려갔지만, 광주지역은 오히려 5.1% 상승했다. 전국 특·광역시 중 유일한 5%대다. 체감물가를 반영하는 생활물가지수 역시 지난 1월 대비 0.3%, 2022년 2월 대비 6.1%나 올랐다. 높은 소비자물가는 30%대에 달하는 공공요금 상승률과 먹거리, 외식비 인상 등이 주원인이다. 일례로 지난달 광주 도시가스비의 경우 전년 동월 대비 35.7%나 급등했다.

지역 경제계 관계자는 “전방위적인 경기침체와 소비 위축으로 지역경제가 큰 위기를 맞고 있다”며 “경제위기 타파를 위해선 정부와 자치단체 차원의 경기부양책과 금융 등 기업 지원은 물론 규제 개선과 신산업 중심의 성장동력 발굴 등 다각적인 노력이 필요하다”고 말했다.▶관련기사 2·3면
최권범 기자 kwonbeom.choi@jnilbo.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