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기정·김영록, 민간공항 뺀 채 군공항 이전 추진
  • 페이스북
  • 유튜브
  • 네이버
  • 인스타그램
  • 카카오플러스
검색 입력폼
광주시
강기정·김영록, 민간공항 뺀 채 군공항 이전 추진
● 이전지 지원 확정 후 발표 등 합의
2018년 민간공항 이전 합의 파기
“시각차 좁혔다”vs“기대 못미쳐”
  • 입력 : 2023. 05.10(수) 18:27
  • 박상지 기자 sangji.park@jnilbo.com
강기정 광주시장과 김영록 전남지사(왼쪽)이 10일 오후 광주 김대중컨벤센센터 1층 회의실에서 광주군공항 이전 문제 협의와 관련해 회의 시작에 앞서 악수를 나누고 있다. 전남도 제공
강기정 광주시장과 김영록 전남도지사가 광주군공항 이전 문제를 놓고 9개월 만에 회동을 가졌지만 기대한 만큼의 성과는 도출되지 못했다는 평가다.

다만 2018년 광주시·전남도·무안군 3자간 협약을 통한 민간공항 무안이전 약속은 사실상 파기하고 후보지 선정과 지원사업을 공동 논의키로 했다.

10일 강 시장과 김 지사는 광주 서구 치평동 김대중컨벤션센터 1층 회의실에서 광주 군공항 이전지 선정과 지원책 마련을 위한 협력방안을 논의했다. 2시간에 걸친 마라톤 회의 끝에 양 시·도 단체장은 3가지 사항을 합의했다.

합의 내용은 △이전지역에 대한 지원사업 확정 후 공동발표 △유치대상 지역에 설명회·공청회 공동추진 △민간공항 문제는 별도 논의 등이다.

당초 광주 군공항 이전지역을 두고 광주시와 전남도는 입장차를 보여왔다. 함평군이 광주 군공항 유치에 찬성하는 입장을 보이면서 광주시는 광주군공항·민간공항을 동시에 옮기는 방안을 추진했다.

반면, 전남도는 ‘2021년까지 광주 민간공항 무안국제공항으로 이전’을 골자로 한 2018년 광주시·전남도·무안군 3자협약에 따라 무안에 민간공항 선이전을 주장해왔다.

양 시도의 입장차가 극명하게 갈리면서 9개월 만에 마련된 양 시도지사의 회동에 관심이 집중됐지만, 합의점을 도출해내지 못했다.

광주 군공항 이전은 광주·전남의 공동이익을 위한 양 시도지사의 과감한 결단이 요구되는 사안이었던 만큼 이렇다 할 만한 성과를 내지 못한 이번 회동에 아쉬움이 남는 대목이다. 다만 이날 회의의 쟁점으로 떠올랐던 민간공항 이전문제는 ‘2018년 3자협약 파기’가 공식화되면서 새 국면을 맞을 것으로 보인다.

이날 회의 후 ‘민간공항과 관련해 2018년 3자협약이 유효하냐’라는 질문에 김영록 지사는 “민간공항을 우선 전남도에 보내면 적극 협력하겠다고 했는데 이후 광주에서 군공항 문제가 해결이 안됐기 때문에 보낼 수 없다고 해, 그 협약은 사실상 파기된 것이나 다름없다”고 답했다.

그동안 시도간 민간공항 이전을 놓고 시각차가 컸던 만큼, 엇갈린 이해관계 속에 시장, 지사가 대화의 물꼬를 텄다는 데 의미를 부여하는 시각도 있다.

민간공항 무안이전의 근거로 작용했던 ‘2018년 3자협약’이 공식적으로 파기됨에 따라, 광주 군공항 유치에 찬성입장을 냈던 함평군에도 민간공항 이전이 가능해질 것이란 전망도 나온다.

광주시 관계자는 “지역 최대 현안 중 하나인 공항 이전 해법을 도출하는 데 필수적인 시도 간 긴밀한 소통의 첫걸음”이라며 “앞으로 더 자주 만나 상호 신뢰 속에 현안을 해결할 수 있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이상익 함평군수는 지난 8일 담화문을 통해 “지역소멸 위기에 무거운 책임감을 느낀다”며 타개책으로 광주군공항 유치를 찬성하는 입장을 냈다. 이에 대한 수순으로 함평은 8월께 광주군공항 유치를 묻는 주민여론조사를 실시할 예정이다.
박상지 기자 sangji.park@jnilbo.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