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후보가 밝힌 구상은 대구 군공항 이전과 유사한 국가 주도 모델을 광주에도 적용하겠다는 것이다. 실제 대구·경북 통합공항은 약 14조원이 투입돼 의성과 군위에 항공산업 클러스터를 조성하며 지역 경제의 새로운 축으로 자리 잡았다. 이재명 후보는 이를 언급하며 “광주도 국가가 추진하면 가능하다. 법적 근거도 이미 마련돼 있다”고 강조했다. 하지만 관건은 구체성과 실행력이다. 무안군은 여전히 신중한 태도다. “공약일 뿐이며, 대선 이후 상황을 지켜봐야 한다”는 입장을 고수하고 있다. 범군민대책위는 “자발적 참여를 전제로 한 공모 방식 도입”과 “일방적 희생 강요 중단”을 촉구하며, 광역·기초지자체를 모두 아우를 수 있는 해법을 요구하고 있다.
공약이 공감대를 얻으려면 말보다 구체적 이행 계획이 뒤따라야 한다. 예산 확보 방안, 소음 저감 기술, 지역별 맞춤형 지원책 등 피해 최소화와 이익 공유를 위한 실질적 대책이 병행돼야 한다. 이 후보가 언급한 대통령 직속 갈등조정기구 설치도 선언에 그치지 않고, 법적·행정적 체계를 갖춘 실천 기구가 돼야 한다. 군공항 이전은 광주와 전남 모두의 미래가 걸린 과제다. 누가 대통령이 되든 이 사안을 단지 선거용 메시지로 소비해선 안 된다. 지금 필요한 것은 해법이 아닌 ‘실행’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