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표 5만명인데… 되레 인구 줄어든 나주 혁신도시
  • 페이스북
  • 유튜브
  • 네이버
  • 인스타그램
  • 카카오플러스
검색 입력폼
혁신도시
목표 5만명인데… 되레 인구 줄어든 나주 혁신도시
7월, 3만9210명… 전년대비 감소||세대수만 증가 ‘나홀로 이주’ 뚜렷||전출도 전입 추월 인구유출 심화||“혁신도시 만들어놓고 손놔” 지적
  • 입력 : 2022. 07.20(수) 17:38
  • 김해나 기자

20일 나주 빛가람혁신도시 인근 상가에는 임대 현수막이 내걸려 있다. 나건호 기자

나주혁신도시 인구추이 그래픽. 최홍은 편집기자

16개 공공기관이 이전으로 만들어진 광주전남공동혁신도시(나주혁신도시) 인구가 올해 들어 처음으로 감소했다.

목표 인구였던 5만명에 미치지 못한 상황에서 오히려 인구가 줄어든 데는 공공기관 직원들의 '나홀로 이주'와 인구 유출, 교육·의료 인프라 확충 등 정주여건 개선이 속도를 내지 못했기 때문이다.

20일 나주시 등에 따르면, 나주혁신도시가 위치한 빛가람동의 인구는 지난해 말 3만9246명으로 최고점을 찍은 뒤 지난 15일 기준 3만9210명으로 첫 하락세를 보였다.

지난 2013년 우정사업정보센터 이전을 시작으로 16개 공공기관이 모두 들어선 2018년까지 빛가람동 인구는 3만명까지 꾸준히 상승했다.

하지만 2019년부터 인구 증가세가 둔화하면서 3만9000명대에서 정체됐다. 결국 공공기관 이전 시작 9년 만에 처음으로 빛가람동 인구가 줄었다.

빛가람동 인구가 감소한 가장 큰 이유는 공공기관 직원들의 '나홀로 이주'가 첫 손에 꼽힌다. 빛가람동 인구는 줄었지만 세대 수는 꾸준히 늘었다. 실제 세대수는 지난해 말 1만6443만호에서 지난 15일 기준 1만6547호로 104세대가 증가했다.

현 인구수에 세대수를 단순 계산하면 세대당 평균 인원은 2.36명꼴이다. 결국 가족 단위 이주보다는 공공기관 종사자들의 '나홀로 이주'가 많았다는 방증이다.

올 들어 빛가람동 전출자가 전입자 수를 역전했다. 전입자는 2017년 1만361명, 2018년 7436명, 2019년 6867명, 2020년 8622명, 2021년 8202명까지 증가하다 지난 15일 기준 2757명으로 주춤했다. 반면 전출자는 2017년 3998명, 2018년 5357명, 2019년 5596명, 2020년 5155명, 2021년 5683명으로 매년 증가했다. 15일 기준 전출자가 전입자보다 3016명 많아 인구 유출이 가속화되고 있다.

향후 인구 유입 요인도 거의 없어 인구 감소폭이 커질 것으로 우려된다.

혁신도시 내 공동주택 개발 계획 중 2200여 세대가 들어서는 부영아파트 3개 단지 부지 건설이 속도를 내지 못하고 있다.

부영아파트 B7(760세대) 구역은 감리 등까지 완료했지만, 회사 사정에 의해 공사를 일시 중단한 상태다. C6(729세대)·C7(797세대) 구역은 사업 계획 허가만 받은 채 착공 신고조차 하지 않은 상태다.

또 부영그룹(부영주택)이 지난 2019년 8월 골프장을 한국에너지공대 부지로 무상 기부하고 남은 부지 개발도 지지부진하다. 부영 측은 아파트 건설이 가능한 제3종 일반주거지역으로 용도 변경을 나주시에 신청했지만 최대 1조원의 막대한 개발 이익이 예상되면서 반발을 사고 있다.

인근 축사 악취 민원과 SRF(고형폐기물연료) 열병합발전소 내 쓰레기 소각 등에 의한 불편도 인구 증가의 걸림돌이 되고 있다.

'나홀로 이주'와 인구 유출이 현실화한 데는 혁신도시 정주여건 개선 작업이 더디기 때문이다.

교육문제 해결을 위해 빛가람동에 추진됐던 '혁신 IT·에너지고' 신설은 허가 문턱을 넘지 못했고, 인근 광주와의 대중교통편은 4개 버스 노선만 운영 중인 데다 배차 간격도 길어 이용객의 불편이 크다.

빛가람동 내 상가 공실률도 수년째 70%에 달하면서 즐길거리 등도 턱없이 부족한 실정이다.

빛가람동 주민 A씨는 "놀이시설이 없어 아이를 키울 환경이 되지 않고, 생활SOC복합센터는 짓는다는 말만 하고 착공도 안 하고 있다"며 "마땅한 체육시설도, 놀거리도, 특별한 맛집도 없어 아무도 찾지 않는 곳에서 사람들이 떠나는 건 당연하다"고 말했다.

정부가 공공기관 추가 이전에 손을 놓은 데다, 광주시와 전남도가 정주여건 개선 노력에 소극적이었다는 지적이다.

이진우 광주전남공동혁신도시이전기관노동조합협의회 의장은 "정부가 국토 균형 개발을 위해 혁신도시를 만들어만 놓고 '알아서 하라'는 식의 태도는 너무 무책임하다. 인구 4만여명이 되어가는 혁신도시에 제대로 된 도서관 하나 없다"고 꼬집었다.

이어 "'광주전남공동혁신도시'인 만큼 광주·전남이 함께 예산을 마련하고 발전 기회를 모색해야 하는데, 혁신도시가 위치한 나주시에 모든 것을 떠넘기는 분위기도 있다"며 "혁신도시를 광주·전남의 혁신을 위한 '상생 발전 도시'로 만든 게 맞는지 의문이 든다"고 말했다.

김해나 기자 mint@jnilbo.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