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주이슈 89-3>방공포대 이전 급물살… 송신탑·신양파크는 요원
  • 페이스북
  • 유튜브
  • 네이버
  • 인스타그램
  • 카카오플러스
검색 입력폼
일주이슈
일주이슈 89-3>방공포대 이전 급물살… 송신탑·신양파크는 요원
● ‘시민의 품’ 무등산, 남은 과제
방공포대 이전지 선정 선결돼야
방송사 송신탑 이전 요구도 커져
신양파크호텔 활용방안 언제쯤
원효사 이주주민과 보상 갈등도
  • 입력 : 2023. 03.05(일) 18:34
  • 박상지 기자 sangji.park@jnilbo.com
지난해 9월29일 무등산 방공포대 이전 관련 부대시찰과 이전토의에 참석한 송갑석 의원과 김광진 광주시 문화경제부시장이 부대관계자로부터 현황 설명을 듣고 있다. 광주전남사진기자단 제공
올해 9월 상시개방과 함께 무등산 방공포대 이전논의가 본격화되면서 ‘온전한 무등산’에 대한 시민들의 기대감도 높아지고 있다.

무등산을 시민들에게 온전히 돌려주기 위해선 산적된 현안 과제들 해결이 우선이라는 지적이다. 방공포대 이전을 비롯해 방송사 송신탑, 신양파크호텔 활용방안 모색, 원효사 집단시설지구 이주 정비사업 등이 대표적이다.

무등산 정상 상시개방에 가장 큰 걸림돌은 무등산 정상에 위치한 방공포대다. 방공포대는 1966년부터 무등산 정상부에 주둔했다. 방공포대가 점유한 정상부 면적은 10만8147㎡, 포장재 설치 면적은 1만8864㎡로 포대 및 초소, 헬기장, 주차장, 건물 15개와 컨테이너 20여 개가 설치돼 있다.

방공포대는 1961년부터 3년마다 광주시로부터 점용·사용허가를 받아 무료로 산 정상을 이용중이다. 일반인은 정상부에서 900m 떨어진 곳까지만 접근이 가능하다. 시민들이 불만을 터트리는 것은 당연했다.

1995년 광주시가 국방부에 처음으로 무등산 방공포대 이전을 건의했던 것을 시작으로 2015년에는 광주시와 국방부가 이전협약까지 체결했지만 지금까지 큰 진전을 보지 못했었다. 이후 무등산 정상개방을 두고 시민들의 불만과 요구가 이어지자 지난해 국회 국방위원회 소속 송갑석 의원(광주 서구 갑)이 7년만에 방공포대 이전 논의를 이끌어냈다. 당시 송 의원과 광주시, 국방부는 무등산 방공포대 부지에 대한 광주시의 공유재산 사용허가가 만료되는 올해 12월 전까지 이전계획을 완료하기로 했다.

지난달 28일 무등산국립공원사무소 주최로 열린 ‘무등산 정상개방 시민토론회’에서는 군부대 이전 로드맵이 구체적으로 언급되기도 했다. 군부대 이전 로드맵에는 시민 의견 수렴을 통해 2025년까지 설계과정을 거쳐 2027년까지 방공포대 이전을 완료하겠다는 내용을 담고있다. 정상복원 작업은 2028년부터 2년간 시행될 예정이다.

하지만 방공포대 이전이 계획대로 진행될 수 있을지는 의문이다. 이전 후보지로 거론되는 광주 군공항 관내 광산구 주민들이 강하게 반발하고 있기 때문이다. 주민들은 “그동안 전투기 소음피해가 극심해 군공항 이전을 촉구해온 상황에서 방공포대 시설까지 집약하면 공항 이전이 더 어려워 질 것”이라고 주장하고 있다.

무등산 정산에 있는 방송사 송신탑 이전도 시급히 해결돼야 하는 문제다. 한국방송(KBS), 문화방송(MBC), 케이비시(KBC) 광주방송 등 방송 3사와 케이티(KT)가 5866㎡ 면적을 점유해 송신탑 6개, 관련 건물 8동을 두고 있다. 정상에 있는 송신탑 6개 중 일부를 없애거나 2개로 통합하자는 의견이 광주시에서 제시됐지만 이전 비용 등 문제로 현재까지 추진되지 못하는 상황이다.

광주시가 무등산 경관보호와 난개발 제한을 위해 매입한 신양파크호텔의 활용방안을 찾는것도 시급하다. 광주시는 매입 이후 ‘무등산 난개발 방지를 위한 민·관·정 협의회’를 구성, 호텔과 부지를 친환경적으로 활용하자는 데 합의했지만 지난해 7월 강기정 광주시장 취임 이후 막대한 사업비가 예상돼 백지화 됐다. 이후 협의회에서 ‘시민공원’, ‘생태호텔’, ‘청년 교육·연구공간’ 등 활용에 대한 다양한 의견이 나왔지만 아직까지 진전이 없는 상태다.

무등산국립공원 내 원효사 집단시설지구 이주 정비사업 역시 이주지역의 분양가 문제를 두고 상인들과 합의점을 찾지 못하는 중이다. 광주시는 2002년부터 생태복원사업을 통해 증심사 인근 식당 등을 모두 철거, 원효사 집단시설지구 식당들도 함께 철거할 계획이었지만 10년이 넘도록 지지부진한 상태로 남아있었다.

환경부는 지난해 원효사 집단시설지구 이주 정비사업이 본격화되면서 보상금 지급을 비롯해 퇴거까지 연 내 매듭짓겠다는 목표로 계획을 추진한 바 있다. 현재까지 보상금 지급은 마무리 됐으나 이주지역 분양가를 두고 상인들과 접점을 찾지 못하고 있다. 새롭게 이주할 지역은 현재 공원으로 지정돼 있으나 식당 등이 들어서게 되면 상업공간으로도 분류돼 분양가가 높아지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이다.

강은미 의원은 “공원으로 규정했을때와 상업지구로 규정했을때 보상규모는 거의 두배 정도 차이가 난다”면서 “이 부분에 대해 상인들과 좀처럼 합의점을 찾지 못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박상지 기자 sangji.park@jnilbo.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