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30일 오전 10·29이태원참사 유가족협의회와 시민대책회의는 광주 동구 5·18민주광장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독립적 조사기구 설치 특별법 제정을 촉구했다. 강주비 기자 |
30일 오전 10·29이태원참사 유가족협의회(협의회)와 시민대책회의(대책위)는 광주 동구 5·18민주광장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독립적 조사기구 설치 특별법 제정을 위한 국민 청원에 동참에 달라”고 말했다.
이번 기자회견은 10·29 진실버스 전국 순회 일정 중 하나로, 협의회와 대책위는 지난 27일 서울·인천을 시작으로 △청주 △전주·정읍 △광주 △창원 △부산 △진주·제주 △대구 △대전 △수원 등 13개 지역을 돌며 독립적 조사기구 설치 특별법 제정을 촉구하고 있다.
양한웅 대책위 공동운영위원장은 “입법 청원이 벌써 3만명이 넘었다. 하지만 저희는 입법 청원에 머물 수 없다”며 “유가족들이 5~6월 국회 입법 투쟁, 특별법 시행 촉구를 행동으로 옮길 때 광주 지역 동지들이 같이 연대해 주길 바란다”고 강조했다.
이날 기자회견에 참여한 지역 유가족들 역시 시민들에게 진실 규명을 위해 힘을 보태 달라고 간곡히 요청했다.
전남 연고 희생자 고 박시현씨의 오빠 박도현씨는 “얼마 전 정부가 희생자들의 금융거래내역을 들춰보고 신고도 허위로 조작하는 등 진실이 조금씩 드러나고 있음에도 정부는 침묵하고 있다. 왜 공개해야 할 사항들은 공개하지 않고 공개됐어야 할 일들은 숨겨진 채 발견되는 것이냐”며 “앞으로 일어날 수도 있을 또 다른 참사의 방지를 위해 지난 참사를 기억하고 앞으로 함께해주길 부탁드린다”고 말했다.
또 이들은 “참사의 발생 원인, 수습 과정, 후속 조치 등 사실관계와 책임 소재를 위정자들에게서 완전히 독립된 ‘독립적 조사기구’를 통해 명명백백히 밝혀야 한다”며 “희생자들의 명예회복과 지속적 추모를 위한 추모사업, 피해자들의 회복을 위한 간병비 및 심리지원 등 각족 지원을 실시해 피해자들의 권리를 보장하는 특별법 제정이 꼭 필요하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한편, 지난 24일 국회 홈페이지에 공개된 ‘10·29이태원참사진상규명특별법 제정에 관한 청원’은 한 달 이내에 5만명 이상의 동의를 받으면 국민동의 청원으로 국회에 접수되며 그렇지 못할 경우 폐지된다. 해당 청원은 30일 오후 4시 기준 3만600여 명이 동의한 것으로 확인됐다.
강주비 기자 jubi.kang@jnilbo.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