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남일보]기획시리즈> “김부열 열사 추모비, 5·18 계기교육 도움됐어요”
  • 페이스북
  • 유튜브
  • 네이버
  • 인스타그램
  • 카카오플러스
검색 입력폼
518
[전남일보]기획시리즈> “김부열 열사 추모비, 5·18 계기교육 도움됐어요”
●5·18 43주년 - 학교 내 기념공간 조성하자
<4> 조대부중·여중
전두환 공판 항의 동산초 출신
거짓 ‘대항’ 자발적 행동 ‘뿌듯’
“김부열 열사 후배… 자부심 커”
“5·18 교육·체험 일상 확대됐으면”
  • 입력 : 2023. 05.11(목) 17:43
  • 양가람 기자 lotus@jnilbo.com
전두환을 향해 ‘물러가라’ 외쳤던 동산초 졸업생(현 조대부중 3학년) 6명의 모습. 왼쪽 윗줄부터 시계방향으로 고영승, 김호원, 지선, 박은겸, 김주안, 송연하 학생. 양가람 기자
지난 4일 광주 조대부중 3학년 학생들이 모교 출신 김부열 열사 추모비 앞에서 묵념을 하고 있다. 양가람 기자
“민주주의와 정의를 수호한 선배님의 의향(義鄕) 정신, 잊지 않겠습니다.”

비가 추적추적 내리던 지난 4일 오후. 광주 동구 조선대학교 부속중학교 3학년 학생 6명이 김부열(1963.5.3~1980.5.24) 열사 추모비 앞에 서서 묵념을 했다.

1980년 조대부중 3학년이었던 김 열사는 그 해 5월24일 지원동 부엉산에서 계엄군이 쏜 총을 맞고 숨졌다. 시민군에 가담했던 김 열사의 시신은 심하게 훼손돼 유가족들이 사타구니 점으로 신원을 확인해야 했다. 광주시교육청은 5·18 학생 희생자 추모 지원 사업 차원에서 지난 2016년 조대부중 교정에 김 열사 추모비를 세웠다. 가로 40㎝, 세로 30㎝ 크기의 추모비에는 ‘열사의 정신이 모교의 가슴에 살아 숨쉬기를’ 이라는 글귀가 적혀있다.

추모비 건립 이후, 조대부중은 해당 공간을 계기교육의 장으로 활용하고 있다. 추모 주간은 물론 상시적으로 5·18과 관련한 내용을 학생들에게 알릴 수 있어 의미가 남다르다는 평이다.

이날 김 열사 추모비 앞에 선 6명 모두 동산초 5학년이던 지난 2019년, 재판에 출석하던 전두환을 향해 ‘물러가라’를 외쳤다. 며칠 뒤 일부 보수단체가 학교로 찾아가 항의성 기자회견을 열었는데, 학교 측은 학생들의 안전을 위해 교문을 봉쇄하기도 했다. 그러나 이들 모두 “자발적으로 한 행동이었다”고 당시를 회상했다.

지선 조대부중 학생회장은 “당시 사회수업에서 5·18과 관련한 내용을 배웠는데, 마침 선생님이 ‘전두환이 재판 받으러 광주에 온다’고 말씀 하셨다”며 “점심시간에 누가 먼저다 할 거 없이 3층 창문 밖으로 ‘전두환은 물러가라’를 외쳤다. 5학년 남학생 대부분이 복도로 나와 외쳤던 걸로 기억하는데, 나중에야 선생님이 말리셔서 교실로 들어갔다”고 말했다.

고영승군은 “평소 집에서도 부모님과 5·18, 민주주의 등에 관해 대화를 자주 나누는데, (해당 사건이 있은 날에도) 부모님이 자랑스러워해 주셨다”며 “다만 굳이 학교까지 찾아와 항의를 하는 어른들 때문에 평소보다 늦게 하교를 했다. 인터넷에도 5·18과 관련한 거짓된 정보나 비방이 많은데, 광주 학생으로서 책임감을 느낀다”고 말했다.

광주 동산초는 또 다른 민주열사인 이한열 열사의 모교이기도 하다. 이 열사는 연세대학교 2학년에 재학 중이던 1987년 6월 항쟁에 참여했고, 전두환의 4·13 호헌조치에 맞서 ‘호헌 철폐, 독재 타도’를 외치다 최루탄에 맞아 숨졌다.

학생들은 민주주의를 위해 헌신한 이들이 모교 선배라는 데 큰 자부심을 느끼고 있었다.

송연하군은 “이한열 열사 그리고 김부열 열사가 모교 선배라는 사실이 자랑스럽다”며 “민주주의 정신은 ‘포용’이라고 생각한다. 선배들이 지키려 했던 민주주의 정신을 계승해 개개인의 권리가 모두 보장받는 사회를 만드는 데 힘을 보태고 싶다”고 말했다.

당시 동산초 학생들의 외침 속에는 여학생의 목소리도 담겨 있었다.

조대여중 2학년 윤혜원양은 ‘친구와 함께 도서관을 가던 중이었다’고 당시를 떠올렸다. 복도에 길게 늘어선 선배들을 보고, 윤양도 ‘전두환은 물러가라’를 외쳤다. 이후 뉴스에 본인 학교가 크게 소개된 걸 보고 뿌듯함을 느꼈지만, 학교 선생님을 향한 원색적인 비난 댓글에 죄송한 마음도 들었다고 고백했다.

윤양은 “광주 뿐 아니라 타 지역 또래 학생들이 5·18에 대해 정확한 사실을 알길 바란다”며 “학교 수업시간에도 5·18이 발생한 전반적인 맥락과 구체적인 설명이 있었으면 한다. 이와 함께 5·18 역사현장 탐방 등 활동이 확대돼 일상 속에서 민주주의를 배우고 느끼는 기회가 많아지길 바란다”고 말했다.
양가람 기자 lotus@jnilbo.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