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난 20일 국립아시아문화전당 국제회의실에서 열린 2023 전남 종가 심포지엄 참석자들이 기념촬영하고 있다. 한국학호남진흥원 제공 |
지난 20일 국립아시아문화전당 국제회의실에서 열린 이번 종가 심포지엄은 남도 종가의 위상을 대내외에 알리고 지역 종가 문화 계승 발전의 방향성을 정립는 한편 전남 종가의 문화적 다양성과 독특성을 찾아 유용화하기 위해 개최됐다.
심포지엄에 특별 초청된 한경구 유네스코한국위원회 사무총장은 ‘인류 문화유산으로서 종가 문화의 의미와 가치’라는 주제 발표를 통해 “종가문화의 유네스코 등재는 간단히 접근할 사항이 아니며 전체 인류에게 적용될 수 있는 보편성의 문제가 중요하다”고 역설해 종가 또는 종가문화의 유네스코등재를 포함한 세계화에 대한 진지한 성찰의 기회를 갖게 했다.
이재태 전남도의원은 ‘전남 종가 역사 문화 진흥조례 제정의 의미와 정책 방향’이라는 주제 발표에서 전남종가 활성화를 위한 제도와 정책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퇴계 종가 차 종손인 이치억 공주대 교수는 ‘종가 문화 계승의 구조와 현상 및 과제’라는 주제로 종가 계승의 어려움을 퇴계 종가 가문 차기 종손이 될 자신이 처한 실제 상황과 경험을 생생하게 발표, 종손과 종부 등 참석한 종가 회원들의 뜨거운 관심을 받았다.
전통 건축문화 연구학자인 조선대 신웅주 교수는 ‘남도 종가의 공간 구성 및 건축의 독특성-종택의 미학과 그 활용’을 남도 종가 현지 조사 자료를 통해 발표했고, 정혜경 호서대 명예교수는 ‘종가 음식문화의 특징 및 유용화 방안’이라는 주제로 남도 종가 음식 연구 사례를 발표해 많은 이들의 관심을 받았다.
양국진 전남도 문화예술과장은 “‘전남 종가 역사 문화 진흥조례’ 제정을 계기로 향후 추진 될 남도 종가 활성화 사업의 실질적인 방향과 대안 제시를 목적으로 준비한 학술대회였다”며 “국내 최고 권위 학자들이 참석해 수준 높은 연구 결과 발표와 토의를 통해 정리된 학술대회 결과를 종가 활성화 정책 수립 및 실행에 적극 반영할 계획이다”고 밝혔다.
최동환 기자 cdstone@jnilbo.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