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생명의 숲 되찾기 합천군민운동본부 회원들이 17일 오후 광주 동구 금남로에서 열린 5·18민주화운동 45주기 전야행사 오월시민난장에 참여해 내란수괴 전두환의 아호를 본따 이름붙여진 일해공원의 명칭 변경을 촉구하며 서명운동을 벌이고 있다. 뉴시스 |
17일 오후 광주광역시 동구 금남로에서 경상남도 합천군민들은 5·18민중항쟁기념행사위의 오월시민난장에 참여해 “전두환 공원의 이름을 바꿔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이날 생명의 숲 되찾기 합천군민운동본부 소속 군민들은 전두환의 고향인 합천에 지어진 일해공원의 유래와 전씨의 과거 혐의를 적은 대형 팻말을 목에 걸었다.
지난해 12월 운동본부가 추진한 일해공원 명칭 변경 국회 청원은 동의 수 10만명을 넘기며 답변 요건을 충족했지만, 국회는 오는 12월31일까지 답변을 미룬 상태다.
이에 합천군민들은 5·18민주화운동 45주기를 맞은 광주를 직접 찾아 행동을 진행한 것이다.
전씨의 호를 본떠 지어진 합천 일해공원의 명칭 변경은 지역시민사회 주도로 18년째 이어져 왔지만 제자리걸음이다.
운동본부는 합천군 내 전두환 미화 시도를 막고 흔적을 지우기 위한 행동을 17년째 이어오고 있다. 지난 2004년 합천군 합천읍에 조성된 ‘새천년 생명의 숲’이 2007년 일해공원으로 명칭이 변경되자 이에 반발한 군민들이 모인 것이 시작이다.
지난 2021년 정식으로 출범한 운동본부는 같은 해 12월 주민 1500명의 동의를 받아 합천군에 명칭 변경 주민청원을 발의했다. 이듬해인 2022년부터는 매년 5월18일 오후 일해공원에서 5·18 기념 행사를 자체적으로 열고 있다.
하지만 주민청원 발의 이듬해인 2022년 합천군이 주재하는 지명위원회가 두 차례 열렸으나 결정이 모두 보류됐으며 2023년 6월에는 지명위원회의 결정이 났지만 이마저도 일해공원 지명 변경이 적합하지 않다는 결론이 내려졌다.
이처럼 일해공원 명칭 변경 문제가 답보 상태를 거듭하자 운동본부는 지난해 11월 국회 청원 게시판에 ‘전두환을 찬양하는 공원 폐지 및 관련 법률 제정 요청에 관한 청원’을 게시했다.
고동의 운동본부 간사는 일해공원 명칭 변경을 촉구하며 이날까지 6일째 단식에 나서고 있다.
고 간사는 “미흡한 내란 청산이 작금의 상황을 만들었다”며 “일해공원 명칭 변경 등 하루빨리 전씨의 잔재가 청산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국회 청원 답변 요건을 충족했지만 국회는 늘 그래왔듯 답변을 미루고 또 적당히 폐기할 것이 분명하다. 내란수괴 등 범죄자들을 미화하고 찬양하는 기념물 설치를 법으로 금지해야 하지만 국회가 움직이지 않는다”고 말했다.
그는 “오늘날 빈곤한 민주주의는 청산되지 못한 과거 내란의 역사 탓이다. 아픈 역사를 제대로 살피지 않는 한 비상계엄 등 민주주의를 뒤흔드는 사건이 계속 이어질 것”이라고 우려했다.
정유철 기자·뉴시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