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광주시는 11일 북구 종합사회복지관에서 주민 20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교통체계 개선 및 교통 혼잡 완화 방안’ 공청회를 열고 이 같은 입장을 밝혔다.
시는 주민대책위가 요구한 지하화 방안에 대해 막대한 예산과 정부 승인 문제, 공사 지연 등을 이유로 불가능하다고 설명했다. 강기정 광주시장은 “지하화는 최소 2년 이상 공사 지연이 불가피하고, 재정적 부담도 커 사실상 불가능하다”고 말했다.
주민대책위가 제안한 지하차도나 고가차도 건설 방안에 대해서도 광주시는 난색을 표했다. 시 관계자는 “통과 교통량만 고려하면 유리할 수 있으나, 본선 도로 용량 감소와 극심한 주변 혼잡, 지하철 시설물과의 중복 등으로 실현이 어렵다”고 밝혔다.
또한 “450억~600억 원의 막대한 사업비가 전액 시비로 충당돼야 하며, 시 재정 여건상 부담이 크다”고 덧붙였다. 굴다리 설치나 우회도로 건설도 산책로와 자전거도로, 공원 철거 등이 필요해 추진이 어렵다는 설명이다.
대신 시는 차선 확장 등 교통 혼잡 해소 대책을 내놨다. 기존 45차로를 56차로로 확장하면 도로 역량 대비 통행량 효과를 20% 높이고, 차량 대기행렬도 261m에서 193m로 줄일 수 있다는 분석 결과를 제시했다.
또한 우회도로 확보와 보행 전용로 신설, 자전거 이용 환경 개선 등 다양한 대안을 통해 주민 불편을 줄이겠다는 방침이다.
일부 주민들은 여전히 지하화 필요성과 안전성을 우려하며 목소리를 높였다. 한 주민은 “광신대교는 지하화가 됐는데, 첨단대교는 왜 안 되느냐”며 “이미 노후한 첨단대교의 안전 문제는 괜찮은 것이냐”고 지적했다.
이에 대해 시 관계자는 “광신대교는 내진 설계가 되어 있지 않아 위험했지만, 첨단대교는 내진 설계가 적용돼 충분히 안전하다”고 설명했다.
강 시장은 “도시철도 열차는 관광버스 크기로, 15t 트럭의 절반 정도 무게이며, 쇠바퀴 대신 고무바퀴를 사용해 소음 우려도 적다”고 강조했다.
정상아 기자 sanga.jeong@jnilbo.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