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수출 대기 중인 자동차.연합뉴스 |
21일 자동차업계에 따르면 현대차와 기아는 각각 24일, 25일 컨퍼런스콜을 열어 2분기 실적을 공개할 예정이다.
연합뉴스가 연합인포맥스 시스템을 이용해 최근 한 달 치 증권업계 전망을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현대차의 2분기 매출은 46조4776억원, 영업이익은 3조5711억원으로 추산된다.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3.2% 증가하지만, 영업이익은 16.5% 감소한 수치다. 이는 2020년 3분기 이후 가장 큰 폭의 분기 이익 감소다.
기아도 영업이익이 2조9973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17.7% 줄어들 것으로 예상된다. 매출은 29조613억원으로 5.4% 증가할 것으로 보인다. 기아는 올해 1분기에도 12.2% 영업이익 감소를 기록한 바 있다.
실적 둔화 원인은 미국이 지난 4월부터 부과한 25%의 자동차 품목별 관세에 따른 비용 증가로 분석된다. 현대차·기아의 전년 대비 영업이익 감소폭은 약 1조3000억원으로, 관세 부담과 유사한 규모다.
이에 따라 하반기 수익성 방어를 위해 미국 내 차량 가격 인상과 현지 생산 비중 확대가 관건으로 떠올랐다. 조지아주에 건설 중인 ‘현대차그룹 메타플랜트 아메리카(HMGMA)’의 조기 안정화도 주요 과제로 꼽힌다.
또 전기차 판매 경쟁이 치열해진 유럽 시장, 신모델 수요가 급증하는 인도 시장에 대한 전략 재정비도 필요한 상황이다.
김진석 미래에셋증권 연구원은 “관세에 다른 변동성은 여전히 있지만 중요한 것은 미국 점유율”이라며 “일부 업체의 가격 인상으로 미국 자동차 산업은 금융위기와 코로나 이후 점유율이 변동하는 구간에 진입할 것으로 예상하는데 현대차그룹의 미국 점유율은 우상향할 가능성이 있다”고 말했다.
최동환 기자·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