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정치
행정 의회
사회 교육
전남
일주이슈
지속가능
기획시리즈
사람들
스포츠
문화
경제
사진 영상
게시판
PDF 지면보기
우리의 민주주의를 지켜주세요! 5·18민주화운동 왜곡은 멈춰야 합니다
선거의 공정성·신뢰성 확보 장치
투·개표 공정성 확보를 위한 참관인 제도
한표 한표 소중히, 공정하고 투명한 개표절차
투표용지와 1인7표 투표절차
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실시 개요
선거여론조사 바로알기
2022년 달라진 정치관계법 주요내용
선거비용의 제한과 보전
대선후보 공약검증-3 지역균형발전 정책편
제20대 대통령선거 투표참여 안내
선거운동기간 유권자의 선거운동 방법
후보자 정보와 공약 이렇게 확인하세요
대선후보 공약검증-2> 농어촌 정책
선거권과 피선거권
대선후보 공약검증-1> 에너지 정책
'오미크론 우세종' 광주·전남 방역 대전환.. 우려는?
오미크론 확산세가 뚜렷한 광주·전남이 시범적으로 '오미크론 방역 대전환'에 나섭니다. 26일부터 재택치료기간을 10일에서 7일로 변경하고 접종 미완료자는 7일 건강관리 후 3일간 자율격리에 들어갑니다. 그동안 유증상자를 대상으로 이루어졌던 선별진료소 PCR검사는 자가검사 키트 양성 확인자, 의사 소견서 지침자, 고위험군 등에 한해 가능하게 됩니다. 광주시는 1만 8000개, 전남도는 1차로 3000개 키트를 우선 확보했고 2만 5000개 추가 구매절차를 진행중입니다. 자가 검사 키트는 약국이나 편의점 등에서 손쉽게 구할 수 있지만 의심 증상자가 급증할 경우 '제 2의 마스크 대란'이 생길 우려도 있습니다. 24일 기준 광주지역 일일 검사자 수는 약 2만 8천여 명. 지역 검사자 수를 감안하면 확보된 키트의 양이 턱없이 부족하다는 지적도 나옵니다. 한편 26일 기준 국내 코로나19 신규 확진자 수는 처음으로 1만 명을 넘어선 상황으로, 방역 당국은 수급에 영향을 받지 않도록 키트 지급 현황을 모니터링하고 대처할 예정이라고 밝혔습니다.
NFT, 대체불가능한 '역사의 가치' 대체불가능한 '토큰'에 담다
다시 거리두기 … 18일부터 '모임 4인·영업 9시'
방역패스 시행 .. 행정과 현실 간극은
13일부터 식당과 카페 등 16종 다중이용시설에 대해 방역패스(접종증명·음성확인제)가 도입됨에 따라 코로나19 백신을 맞지 않으면 16종 다중이용시설을 이용할 수 없게됐습니다. 이를 어기면 사업주와 이용자 모두에게 과태료가 부과되는데요. 방역패스 시행 첫날 점심시간에는 쿠브, 네이버 카카오 등 코로나19 백신접종을 확인할 수 있는 QR코드 시스템이 먹통돼 점심시간 수요가 몰리는 식당·카페에선 큰 혼란을 겪기도 했습니다. QR체크인이 어려운 경우 PCR음성 증명서를 소지해야하고 고령층의 경우 수기명부를 작성할 수 있지만 현장에서 혼선은 여전해 방역패스 적응까지 상당한 시간이 걸릴 것으로 보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