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남일보]민주 ‘윤 정권 탄생 책임·용퇴론’ 내홍 조짐
  • 페이스북
  • 유튜브
  • 네이버
  • 인스타그램
  • 카카오플러스
검색 입력폼
정치일반
[전남일보]민주 ‘윤 정권 탄생 책임·용퇴론’ 내홍 조짐
공관위, 불출마·험지 출마 압박
친문 임종석-노영민 거취 ‘뇌관’
'하위 20%' 통보도 후폭풍 예고
  • 입력 : 2024. 02.07(수) 18:02
  • 김선욱 기자 seonwook.kim@jnilbo.com
임종석 전 대통령 비서실장이 지난해 9월19일 오전 서울 영등포구 63컨벤션센터에서 열린 ‘9·19 평양공동선언 5주년, 평화의 힘 평화의 길 토론회’에 참석해 있다. 뉴시스
임혁백 더불어민주당 공천관리위원장이 윤석열 정권 탄생에 책임이 있다며 문재인 정부 인사 용퇴론을 다시 제기하면서 내홍 조짐이 일고 있다. 뇌관은 문재인정부에서 비서실장을 지낸 임종석, 노영민 거취다. 이들은 친명으로부터 윤석열 정권 탄생 책임론 공격을 받으며 불출마 또는 험지 출마를 종용받고 있어서다.

친명(친이재명)계 핵심 인사는 ‘윤석열 정권 탄생 책임’은 원론적 이야기라며 진화에 나서기도 했지만 공관위원장의 공개 저격에 친명 대 친문 갈등은 확산하고 있다. 설 연휴 이후에는 컷오프(공천배제) 가능성이 높은 현역 의원 하위 20% 결과 통보도 예정돼 있어 내홍이 더욱 커질 것이란 전망이 나온다.

문재인 정부에서 청와대 대변인을 지낸 고민정 최고위원은 7일 문 정부 책임론을 강하게 반박했다.

고 최고위원은 이날 국회에서 열린 최고위원회의에서 “윤석열 검찰정권 탄생의 책임은 누구에게 있는가가 연일 화두”라며 “책임을 회피할 생각은 없다. 다만 문재인 정권은 윤석열 (당시 검찰)총장을 설득하고 막아서기 위해 사력을 다했다”고 말했다.

이어 ”얼마 전 문재인 전 대통령과 이재명 대표는 양산에서 만나 명문정당 용광로 정치를 말하며 진짜 적인 윤석열 정권을 향해서 총력 기울여야 한다고 강조했다”며 “말의 잔치가 아니길 모두가 간절히 바랄 것”이라고 밝혔다.

그러면서 “통합의 정치, 연대의 정치가 절실한 때에 무엇이 범진보진영에 승리를 안겨줄 수 있는지 치열하게 고민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강성 지지자들의 행태도 작심 비판했다. 고 최고위원은 “2019년 7월 검찰총장 지명 발표는 청와대 대변인이었던 제가 했다”며 “국민의힘 지지자들뿐만 아니라 일부 민주당 지지자들에게서도 온갖 조롱과 모욕을 당해야 했다”고 겨냥했다.

당내 대치가 격화하자 친명 좌장인 정성호 의원은 라디오 ‘김종배의 시선집중’에 출연해 “임 위원장 말씀은 매우 추상적이고 원론적인 것”이라면서 “친문·친명 간 계파 갈등은 왜곡된 프레임”이라고 일축했다. 그러면서 “공천 과정의 기준이 되진 않을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임 위원장은 전날 서울 여의도 당사에서 1차 공천 심사 결과를 발표하며 “본의 아니게 윤석열 검찰정권 탄생에 원인을 제공한 분들 역시 책임 있는 자세를 보여주기 바란다”고 촉구했다.

용퇴론 대상을 구체적으로 거론하지는 않았지만 사실상 친문 인사들의 불출마를 요구했다는 해석이 나온다. 임 위원장은 지난달 간담회에서도 “문재인 정부 인사가 민주당의 상당 부분을 차지하고 있는데 일괄적으로 배제하는 것은 공관위에서 생각지 않고 있다”면서도 “문재인 정부 하에서 지금의 검찰 정권의 탄생에 본의 아니게 기여한 분들이 있다면 어느 정도의 책임감은 느껴야 하지 않겠느냐”고 밝혔다.

정치권은 특히 문 정부에서 중역을 맡았던 임종석·노영민 전 청와대 비서실장을 공개 저격했다고 보고 있다. 임 전 실장은 서울 중구·성동구갑에서, 노 전 실장은 청주 상당구 출마를 준비 중이다. 민주당은 임 전 실장이 노리는 중구·성동갑을 전략 선거구로 지정했다. 이 지역에 영입 인재 등을 전략공천할 가능성을 시사한 셈인데 임 전 실장은 “지금 와서 다시 어디로 가라고 하는 것은 불가능하다”며 물러설 뜻이 없음을 분명히 했다.

공천 작업이 속도를 내면서 당내 계파 갈등은 더욱 극으로 치달을 것으로 보인다. 공관위는 설 연휴 이후 현역 의원 평가 하위 20% 대상자를 개별 통보할 예정이다. 2차 경선 지역 역시 설 이후 발표된다. 공천 탈락자의 불복에 따른 반발은 물론 비명계 현역의 컷오프 규모에 따라 추가 탈당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김선욱 기자 seonwook.kim@jnilbo.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