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정갈등에 광주병원들 생존 위한 ‘협업’
  • 페이스북
  • 유튜브
  • 네이버
  • 인스타그램
  • 카카오플러스
검색 입력폼
의료건강
의정갈등에 광주병원들 생존 위한 ‘협업’
전체 병원 병상가동 80%→50%대 ‘뚝’
전남대·조선대병원 안과 응급진료 협업
PA·공보의 등 대체 인력에도 공백 커
  • 입력 : 2024. 04.14(일) 14:09
  • 노병하 기자 byeongha.no@jnilbo.com
119구급대가 광주 동구 전남대병원 응급실로 환자를 이송하고 있다. 뉴시스
광주지역 주요 병원들이 생존을 위해 손을 맞잡고 있다. 의정갈등 두달에 따른 폐해다.

14일 지역 의료계에 따르면 광주시는 광주·전남 유이 상급종합병원(대학병원)인 전남대병원과 조선대병원, 지역 대표 2차 의료기관인 광주기독병원과 지역 의료체계 협력 방안을 수시 논의 중이다.

현재 응급 중증 환자의 수술과 진료에 있어서는 각 병원이 긴밀한 연락 체계 구축을 통해 전향적으로 협력키로 한 상태다.

이에 전남대병원과 조선대병원은 안과 응급 환자 진료·수술을 나눠 맡기로 했다. 일주일에 이틀은 조선대병원 권역응급센터에서 안과 진료를 전담하고 나머지도 두 병원이 긴밀히 협의한다.

소아청소년과에 대한 협업 체계 구축도 논의가 활발하다.

전남대병원·조선대병원의 최근 병상 가동률은 각기 평균 50% 초반인 것으로 집계되고 있다.

두 병원은 정부의 의대 증원 방침에 반발한 각 병원 전공의들이 지난 2월20일 집단 사직·이탈하기 앞서 지역 의료체계의 중추로서 병상 가동률이 평균 80%대 안팎이었다.

외래 환자 역시 평소와 비교해 전남대병원은 20%, 조선대병원은 10%씩 줄었다.

병원 가동률의 감소는 전공의에 이어 전임의(팰로우)·인턴(수련의)까지 부족한 상황이라 비응급 병동 통폐합·축소 운영에 들어가면서부터다. 수술 역시 중증 응급 환자에 국한, 대부분의 수술실이 잠정 폐쇄 상태다.

전문의(교수)와 진료 지원 간호사(PA) 중심으로 정부의 공중보건의·군의관 파견 대체 인력까지 더해 비상진료체계를 꾸렸지만 공백은 쉽사리 메워지지 않고 있다.

또 교수 중 일부가 사직서를 이미 제출한 채 법정 근로 시간 만큼만 근무하면서 수술 연기·취소 사례도 종종 발생한다.

다만 의정갈등 초반 일었던 연쇄 과부하 우려와 달리 광주 2차 의료기관의 운영 실태는 안정을 되찾는 분위시다.

4월 첫째주(1~5일) 광주 소재 종합병원 19곳의 중환자 수는 평균 102명 꼴이었다. 같은 주 평균적으로 비응급 입원(일반) 환자는 3823명, 외래 환자는 1만2027명이었으며 수술의 경우 249례였다.

지난달인 3월에도 한 주 평균 중환자는 100여명 안팎, 일반 환자는 3700~3800명대, 외래 환자는 1만1900명~1만4900명대 수준으로 집계됐다. 같은 기간 종합병원에서 시행된 수술도 236~281례를 오갔다.

그러나 의정 갈등 장기화 또는 확전의 경우에는 의료체계 연쇄 붕괴 우려가 현실화될 수도 있어 보건당국은 정부와 의사단체간 대화에 예의주시하고 있다.

의료계 일각에선 최근 22대 국회의원 선거(총선) 결과로 정부의 의대 증원 규모도 2000명에서 조정할 수 있다고 관측하는 분위기다.

지역 의료계 관계자는 “이번 총선에서 집권여당이 패배한 것에는 의정 갈등도 한몫했을 것”이라면서 “ 정부는 증원 규모 조정 또는 연기 등 전향적 태도로 대화에 나서 사태를 해결해야 한다”고 밝혔다.
노병하 기자 byeongha.no@jnilbo.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