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박승춘 국가보훈처장이 18일 광주 북구 운정동 국립5ㆍ18민주묘지에서 열린 '제36주년 5ㆍ18민주화운동 기념식'에 참석하려다 5ㆍ18유족들의 항의로 기념식장을 떠나며 미소를 짓고 있다. 김양배 기자 ykim@jnilbo.com |
제36주년 5ㆍ18 민주화운동 기념식이 18일 오전 광주광역시 북구 국립5ㆍ18묘지에서 황교안 국무총리를 비롯해 윤장현 광주시장, 이낙연 전남지사 등 각계각층의 인사와 추모객 등 300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국가보훈처 주관으로 진행됐다. 이 자리에는 보훈처의 '임을 위한 행진곡' 제창 거부에 항의, 지난 2년 동안 기념식에 참석하지 않았던 유가족들도 이날 행사장을 찾았다.
그러나 '임을 위한 행진곡' 제창을 불허했던 박승춘 보훈처장은 광주시민들의 항의로 행사장에 참석하지도 못했다.
박 처장은 공식 행사가 시작하기 직전 식장에 입장했으나, 박 처장을 본 5월 유가족들은 자리를 박차고 나가 입장을 저지했다.
행사장 1열에 마련된 좌석에 앉지 못한 채 발길을 돌린 박 처장은 기념식장을 나서면서 '임을 위한 행진곡 제창 불허 결정을 청와대가 한 것이냐'는 기자들의 질문에 "결정권은 청와대와 보훈처에 있다고 보기 어렵다. 민주주의 국가는 국민이 주인이다. 국민 의견을 들어서 결정한 것이지 특정 개인이 독단으로 결정할 수 있는 문제가 아니다"고 답했다. 박처장은 5분여간 입장을 설명한 뒤 승용차를 타고 현장을 떠났다.
황 총리는 정부 기념사를 통해 "여러 어려움이 있지만 모든 국민이 하나가 돼 역량을 결집해나간다면 반드시 극복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며 '국민 통합'을 강조했다.
식순에 따라 합창단이 '임을 위한 행진곡'을 합창하자 추모객들은 자리에서 모두 일어나 태극기를 흔들며 제창했다. 황교안 국무총리와 현기환 청와대 정무수석은 자리에서 일어서긴 했지만 노래를 부르진 않았다.
김종인 더불어민주당 비대위 대표는 "합창만 허용한다는데, 아집에 사로잡힌 게 아닌가 생각한다"고 비난했고 문재인 더민주 전 대표 역시 "합창은 되고 제창은 안 된다는 것은 무슨 논리인지 알 수 없다"고 꼬집었다. 안철수 국민의당 상임공동대표도"국민 통합에 저해되는 결정"이라고 비판했고 심상정 정의당 대표 역시 "박 대통령이 이런 정당한 요구를 끝내 거부한다면 두 야당과 함께 박승춘 보훈처장 해임촉구 결의안을 시작으로 결연히 맞서 싸우겠다"고 강경한 입장을 나타냈다. 노병하 기자 bhro@jnilbo.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