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병도 더불어민주당 전략기획위원장이 지난 12일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발언하고 있다. 뉴시스 |
한병도 민주당 총선기획단 간사는 이날 국회에서 3차 회의 결과 브리핑을 통해 예비후보자 홍보플랫폼 운영 방침을 공지했다.
한 간사는 “홍보 플랫폼에 기재되는 예비후보자 대표 경력은 21대 총선과 제8회 지방선거 기준을 준용하되, 특정 정치인의 성명을 표시할 수 없도록 기준에 명시했다”며 “이 기준은 추후 확정될 공천 심사나 경선에서도 준용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노무현·문재인 전 대통령의 이름을 쓰지 못하며, (이재명) 당대표 특보의 경우 민주당 당대표 특보라고만 기재해야 한다.
한 간사는 이번 경선 규칙에 대해, “대표 기준 관련해서는 이미 논의한 사안이 있고, 전·현직 대통령 실명 사용은 과거에도 불허했다”고 설명했다.
앞서 중앙당 선거관리위원회는 2020년 당내 경선에 나선 후보들이 여론조사나 경력소개서에 대통령의 이름을 사용하지 못하도록 하는 내용의 ‘대표 경력 허용 기준 지침’을 의결했다.
이는 후보자들이 경선에서 대통령의 이름을 쓸 경우, 그렇지 않을 때보다 여론조사에 큰 격차가 발생하는 등 공정성에 문제가 있다는 지적에 따른 것이다.
특히 공천을 둘러싸고 친명(친이재명)계와 비명계간 갈등이 불거지는 상황에서 잡음이 나오지 않게 하려는 조치로 풀이된다.
아울러 총선기획단은 현역 의원 평가에 따른 하위 10% 이하 감산비율을 기존 20%에서 30%로 강화하기로 했다.
장윤미 총선기획단 대변인은 “이 방안은 현역의원에 대한 기득권을 내려놓자는 차원에서 논의됐다”며 “현재 하위 20% 대상으로 하는 감산범위는 유지하지만 감산비율을 강화하자는 데 의견을 모았다”고 설명했다.
하위 10% 이하 대상자들은 감산비율이 기존 20%에서 30%로 확대하기로 했다. 하위 10% 이상 20% 이하 대상자들은 현행 감산비율인 20%를 유지키로 했다.
이는 김은경 혁신위원회가 제안한 현역 의원 감산비율 확대 방안을 일부 수용한 것으로 보인다. 앞서 김은경 혁신위는 지난 8월 현역 의원 하위 평가자 감산 대상을 현행 20%에서 30%까지 늘리고, 감산 범위를 20~40%까지 차등 적용하는 내용 등을 제안했다.
다만 내년 총선이 얼마 남지 않은 시점에서 총선기획단이 공천룰을 바꿨다는 점에서 당내 반발이 예상된다.
김선욱 기자 seonwook.kim@jnilbo.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