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스콧 베선트 미국 재무부 장관. AFP/연합뉴스 |
베선트 장관은 13일(현지시간) 사우디아라비아 리야드에서 열린 미·사우디 투자 포럼에서 최근 미·중 관세 인하 합의에 대해 “긴장 완화를 위한 메커니즘이 마련됐으며, 향후 협상을 위한 매우 좋은 틀”이라고 평가했다. 그는 이 합의를 ‘제네바 메커니즘’으로 지칭하며, “중국과의 갈등이 다시 악화되는 것을 막을 수 있게 됐다”고 밝혔다.
미국과 중국은 지난 10~11일 스위스 제네바에서 고위급 회담을 열고 상호 관세를 90일간 각 1.15%포인트 인하하기로 합의한 바 있다. 베선트 장관은 “디커플링은 원치 않으며, 핵심 산업 분야만 제한적으로 공급망을 재편하려 한다”고 강조했다. 특히 반도체와 의약품을 예로 들며 “미국 내 자급자족이 필요한 분야”라고 설명했다.
또한 그는 “미국과 중국이 협력해 중국의 소비 확대와 미국산 제품 수입 증가로 이어지는 경제 재조정이 가능하다”며, “중국 지도부 역시 소비 중심 전환에 공감하고 있다”고 밝혔다.
아시아 국가들과의 무역 협상에 대해서도 낙관적인 평가를 내놨다. 베선트 장관은 “한국은 정부 교체기임에도 불구하고 선거가 본격화되기 전에 매우 좋은 제안을 했다”고 밝혔고, 일본과는 “매우 생산적인 논의가 진행 중”이라고 말했다. 인도네시아와 대만 역시 협조적이고 유의미한 제안을 제시했다고 평가했다.
반면 유럽연합(EU)과의 협상에 대해서는 “속도가 느리다”며 “이탈리아와 프랑스처럼 회원국 간 의견 차가 있어 집단적 결정을 내리는 데 시간이 걸릴 수 있다”고 말했다. 다만 “결국 만족할 만한 결론에 도달할 것으로 확신한다”고 덧붙였다.
노병하 기자 byeongha.no@jnilbo.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