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윤석열 전 대통령이 26일 서울 서초구 서울중앙지방법원에서 열린 내란 우두머리·직권남용권리행사방해 혐의 사건 5차 공판에 출석해 오전 일정을 마친 뒤 청사를 나서고 있다. 공동취재 |
경찰 국가수사본부 특별수사단 관계자는 26일 정례 브리핑을 열고 “경호처로부터 임의 제출받은 비화폰 서버 기록을 분석하는 과정에서 윤 전 대통령이 홍장원 전 국가정보원 1차장, 김봉식 전 서울경찰청장과 통화한 기록이 비상계엄 사태 이후 원격으로 삭제된 정황이 포착됐다”고 밝혔다.
이와 관련 경찰은 증거 인멸 혐의에 대한 수사를 즉각 개시하고 윤 전 대통령과 홍 전 차장, 김 전 청장과 관련된 기록을 복구하기 위한 포렌식 작업을 진행하고 있다. 경찰은 현재 특수공무집행방해 혐의와 관련 비화폰과 업무폰 등 총 19대를 확보한 상태로 여기에는 윤 전 대통령의 휴대전화도 포함됐다.
또한 기록에 대한 원격 삭제는 비상계엄 사태 사흘 뒤인 지난해 12월6일 이뤄진 것으로 확인됐다. 윤 전 대통령이 홍 전 차장을 경질했다는 언론 보도가 나오던 시점이다.
경찰 국가수사본부 특별수사단 관계자는 “일반 휴대전화와 비교하면 초기화와 같은 느낌”이라며 “비화폰을 관리하던 대통령 경호처가 서버 기록을 삭제했지만 지시 주체는 확인 중”이라고 밝혔다.
앞서 경찰과 대통령 경호처는 합동 포렌식을 진행해 비화폰 서버 기록 대부분을 복구했다. 대통령 경호처는 수사에 필요한 자료를 선별해 경찰에 임의 제출했다.
포렌식 대상은 비상계엄 당일인 지난해 12월3일부터 지난 1월22일까지의 기록이었으며 비화폰 서버 기록은 2일 마다 자동으로 삭제돼 반드시 거쳐야 하는 과정이었다. 경찰은 내란 혐의 수사와 관련 지난해 3월1일부터의 비화폰 서버 기록도 추가 임의 제출받을 예정이다.
한편 경찰 국가수사본부 특별수사단은 이날 오전 10시부터 한 전 국무총리와 이 전 장관을 피의자로 소환 조사 중이다. 이 전 장관의 경우 비상계엄 당시 소방청에 언론사에 대한 단전 및 단수를 지시한 혐의에 대해서도 조사를 진행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경찰은 대통령 경호처로부터 비상계엄 당일 오후 6시부터 다음 날까지 대접견실과 대통령 집무실 복도의 폐쇄회로 텔레비전(CCTV) 영상을 임의 제출받았으며 이들의 진술과는 차이가 있는 것을 확인했다. 삼청동 안전가옥 CCTV 영상의 경우 확보 중인 상황이다.
노병하 기자·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