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폐소생술 응급처치의 핵심
  • 페이스북
  • 유튜브
  • 네이버
  • 인스타그램
  • 카카오플러스
검색 입력폼
외부칼럼
심폐소생술 응급처치의 핵심
  • 입력 : 2013. 11.06(수) 00:00

심폐소생술은 의료인만이 하는 치료행위로 인식되다가 2002년 월드컵을 우리나라에서 개최하면서 제세동기의 보급과 함께 현장에서의 심폐소생술이 중요하다는 것이 알려지게 됐다. 이후 점차적으로 모든 국민들에게 기본인명구조술이라는 명칭으로 교육이 이뤄지고 있는 응급처치의 핵심이라고 할 수 있다.

어떤 원인에 의해 심장이 갑자기 멈춘 경우 즉각적인 치료가 이뤄지지 않으면 그 환자를 다시 소생시킬 방법이 없다. 특히 산소공급에 민감한 뇌는 3~5분 정도만 심장이 멈춰도 저산소증에 의한 회복 불가능한 손상을 받게돼 이후 다시 심장 박동이 회복되더라도 의식회복은 되지 않는 뇌사나 식물인간 상태에 빠지게 된다. 일상생활에서 심정지가 온 경우 현장에서부터 심폐소생술이 시작되지 않는 한 환자를 소생시키는 것은 불가능한 이야기가 되는 것이다.

이러한 심정지 환자의 생존율을 높이기 위해 자동제세동기가 현장에 보급되고 2012년부터는 법률로서 공공장소에 자동제세동기 설치를 의무화 할 정도로 정부에서는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그렇다면 심폐소생술을 통해 과연 얼마만큼의 환자를 살리고 있을까. 여러 노력을 기울이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소생률이 증가하지 않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전문 단체가 함께 모여서 급성 심정지 환자에 대한 데이터를 작년부터 발표하고 있다. 올해 2차 보고에 따르면 생존퇴원율은 2012년 기준으로 4.4%이다.

이것은 2010년의 3.3%와 비교하면 1.1% 증가한 것이지만 4.4% 중에서 사회로 복귀가 가능하도록 뇌기능이 회복된 경우는 1.8%이기 때문에 아직도 병원 전 단계에서 발생한 심정지 환자의 경우 정상적으로 회복되는 비율은 100명 중에 2명 미만인 것이다. 지역별로도 많은 편차를 보이고 있는데 광주와 전남 모두 평균인 4.4%에 미치지 못하는 2.9%와 1.6%를 보이고 있고 광주의 경우 2011년의 4.0%보다도 오히려 감소하는 결과를 보이고 있다.

우리보다 높은 소생률을 보이고 있는 선진국과 비교하면 어떤 차이가 있을까.

일반인이 현장에서 심폐소생술을 시행하는 목격자 심폐소생율의 비율이 미국에서는 33.2%인데 반해 국내에서는 2011년 4.8%, 2012년 6.5%에 머물고 있다. 현장에서 심폐소생술이 시작되지 않고 구급대원이 와서야 시작하거나 병원에 도착해서 시작하는 경우는 소생을 기대할 수 있는 심실세동 리듬의 비중이 급격히 감소하기 때문에 어떤 전문가가 치료를 해도 소생시킬 수가 없는 것이다. 병원의 역할은 현장에서부터 심폐소생술이 시행돼 심장리듬이 회복된 경우 신경학적 후유증을 최소화하는 것이 치료의 주된 역할인 것이고 죽은 사람을 살리는 기적을 만드는 곳이 될 수는 없다.

이런 결과를 봤을 때 우리가 중점적으로 세워야할 대책은 목격자 심폐소생술의 비율을 선진국과 같은 수준으로 올리는 것이 될 것이다.

여러 기관을 통해서 이루어지고 있는 일반인들의 기본인명구조술 교육은 반복되지 않으면 쉽게 잊혀지고 현장에서는 무용지물이 된다. 현장에 보급돼 있는 수천대의 자동제세동기의 경우도 마찬가지이다. 제세동기를 가지고 다니는 구급대원이 오기 전에 일반인들에게 사용하라고 있는 자동제세동기를 교육받지 않은 일반인들이 사용할 수는 없는 것이고 설치된 자동제세동기가 무용지물이 되고 있다는 비판이 나오지 않으려면 반드시 교육이 선행돼야 한다.

이런 노력과 함께 무엇보다도 목격자가 현장에서부터 심장마사지와 인공호흡을 시행하는 기본인명구조술을 시작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는 것을 우리 모두 인식하고 스스로 교육을 받아 능력을 갖춰야한다.

조수형 조선대병원 응급의학과 교수
외부칼럼 최신기사 TOP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