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와 박광온 원내대표가 9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확대간부회의에 참석하고 있다. 뉴시스 |
11일 민주당 등에 따르면, 당 지도부는 최근 혁신위원장 후보 추천 작업을 마무리하고, 후보군을 4~5명으로 압축해 검증 작업과 함께 의사 타진에 들어갔다.
최종 후보군이 추려지면 당 지도부는 곧바로 최고위원회의를 열어 새 위원장을 인선할 것으로 알려졌다.
소속 의원들로부터 추천 받은 혁신위원장 후보는 20명 남짓이다. 원외 인사로는 정근식 서울대 명예교수와 김은경 한국외대 법학전문대학원 교수, 김태일 전 장안대 총장이 다수 의원들의 추천을 받았다.
이외에도 이철희 전 청와대 정무수석과 김부겸 전 국무총리, 김해영·원혜영 전 의원, 유인태 전 사무총장, 전현희 국민권익위원장 등이 후보 추천 명단에 올랐다. 현역 의원으로는 우상호·홍익표·이탄희·오영환 의원 등이 후보 명단에 올랐다. 당내에선 외부 인사 혁신위원장 임명 가능성을 높게 보고 있다.
민주당은 ‘이래경 혁신위 좌초’를 놓고 비명(비이재명)계의 이재명 대표 사퇴 요구와 친명(친이재명)계의 엄호가 맞서며 계파 간 갈등이 증폭됐다.
아울러 민주당은 상임위원장 선출 기준을 12일 의원총회에서 추인할 방침이다. 총의가 모이면 13일이나 14일 국회 본회의를 거쳐 상임위원장 인선을 확정할 예정이다. 다만 친명계의 정청래 최고위원이 행정안전위원장직을 내려놓지 않겠다고 버티고 있다는 점이 걸림돌이다.
그동안 원내 지도부는 상임위원장 선출 기준과 관련된 의견을 의원들로부터 받아왔다. 이를 토대로 만든 선출 기준안을 박광온 원내대표가 이날 의총에서 보고하고, 의원들로부터 추인을 받겠다는 계획이다.
선출 기준안에는 지난달 30일 의총에서 제기된 불만이 대부분 반영된 것으로 전해졌다. 당시 의총에서는 주요 당직이나 전직 장관, 전 원내대표 등이 상임위원장까지 맡는 것은 형평성에 어긋난다는 지적이 나왔다. 이 기준을 적용하면, 일부 상임위는 재선 의원이 위원장을 맡게 될 가능성이 높다.
상임위원장 선출 대상은 산업통상자원중소벤처기업위·환경노동위·행정안전위·보건복지위·교육위·예산결산특별위 등 총 6개다. 이 중 원내지도부는 정 최고위원의 행안위원장직을 두고 골머리를 앓고 있다.
교육위원장과 복지위원장에 각각 내정됐던 박홍근 전 원내대표와 한정애 전 환경부 장관은 새 기준에 따르겠다는 입장을 밝힌 것으로 알려졌다.
반면, 정 최고위원은 행안위원장과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장을 1년씩 한 뒤 맞교대하는 것이 여야 합의 사항이었다는 주장을 하고 있다. 국회법에 따라 상임위원장 임기 2년도 보장해야 한다고 말한다.
비명계인 박광온 원내대표를 겨냥해서는 노골적인 불만을 드러내기도 했다.
이와 관련, 김한규 원내대변인은 “여러 의견을 모았고 원내대표가 고민해서 (상임위원장) 선정 기준을 월요일에 제시할 것”이라며 “그날 기준이 만들어지면 원내지도부가 하루이틀 작업을 거쳐서 선정을 할 수도 있고, 예외적인 상황이 발생하면 그 다음주로 넘어갈 수도 있다”고 말했다.
앞서 원내 지도부는 환노위·교육위·행안위·복지위 등 4개 위원장에 각각 김경협·박홍근·정청래·한정애 의원을 내정하고 지난달 말 본회의를 통해 확정할 계획이었다. 하지만 본회의 직전 의원총회에서 반발이 나오고, 불법 토지거래 혐의로 1심 유죄를 선고받은 김경협 의원에 대해, 국민의힘이 내정 철회를 요구하면서 선출은 연기됐다.
김선욱 기자 seonwook.kim@jnilbo.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