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현대 광주’ 복합쇼핑몰 속도… 교통난 해소책 관건
  • 페이스북
  • 유튜브
  • 네이버
  • 인스타그램
  • 카카오플러스
검색 입력폼
광주시
‘더현대 광주’ 복합쇼핑몰 속도… 교통난 해소책 관건
광주시-현대百, 상호협력 협약
문화·예술 접목 건축디자인 공개
교통보완책 놓고 시-사업자 이견
공공기여금 이외 추가 부담 난색
  • 입력 : 2024. 05.22(수) 18:26
  • 노병하 기자 byeongha.no@jnilbo.com
강기정 광주시장과 정지영 현대백화점 대표이사가 22일 시청 비즈니스룸에서 복합쇼핑몰 ‘더현대 광주’ 설계 디자인에 대해 이야기를 나누고 있다. 광주시 제공
더 현대 광주 조감도.
옛 전방·일신방직 부지에 들어서는 광주 최대 규모 복합쇼핑몰이자 랜드마크가 될 ‘더 현대 광주’ 건축 사업이 속도를 내고 있다. 광주시와 사업 주체인 ㈜현대백화점은 협약을 통해 ‘더 현대 광주’의 원활한 추진과 소상인과의 상생, 지역 경제·문화·관광 활성화에 뜻을 함께 하기로 했다.

다만 교통난 해소 대책 마련 등 풀어야 할 과제도 만만찮다. 가장 우선적인 사안은 교통영향평가 심의 통과다. 광주시는 원활한 교통 진행을 위해 현대 측에 교량 건설 및 우회 도로 신설을 요구했지만, 현대는 ‘공공기여금’외 추가 비용을 지출하기 어렵다며 맞서고 있다.

22일 광주시와 ㈜현대백화점은 시청 비즈니스룸에서 강기정 시장, 정지영 대표이사가 참석한 가운데 ‘광주시-현대백화점 상호 협력 협약’을 체결했다.

협약에 따라 광주시는 복합쇼핑몰 ‘더 현대 광주’의 조성이 계획대로 추진되도록 신속·공정·투명한 절차에 따라 행정적 사항을 적극 지원하기로 했다. 현대백화점은 ‘더 현대 광주’를 광주의 고유성과 문화적 정체성을 담아 랜드마크로 조성하고, 경제·문화·관광 등 지역 발전을 위해 노력하기로 했다.

광주시와 현대백화점은 소상공인과의 상생을 위해 운영되는 ‘광주 복합쇼핑몰 상생발전협의회’에 적극 참여하기로 했다. ‘복합쇼핑몰 상생발전협의회’는 소상공인, 사업자, 광주시가 모두 참여해 상생방안을 도출하는 협의기구로, 유통산업발전법 상 유통업상생발전협의회를 준용한 협의체다. 유통법에는 준공을 앞둔 대규모점포 등록 때 운영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하지만 광주시는 건축 인허가 절차가 본격화되는 올해 하반기부터 선제적으로 협의회를 운영, 실질적인 상생 방안을 모색할 계획이다.

‘더 현대 광주’의 건축디자인도 공개됐다. 세계적 건축가인 ‘헤르초크&드뫼롱’이 맡았다. ‘헤르초크&드뫼롱’은 건축계 노벨상으로 불리는 프리츠커상 수상자로, 런던의 테이트 모던, 뮌헨 알리안츠 아레나, 베이징 올림픽 주경기장 등을 설계했다. 기존의 전형적인 공간구조에서 벗어나 네 가지 도시 요소인 시장, 도심 가로, 공공회관, 마을을 수직으로 쌓아 올린 특별한 공간구조를 제시하고 있다.

‘더 현대 광주’ 건축디자인에는 과거의 전통성, 현재의 역동성, 미래의 가능성 등 시간이 지나도 변치 않는 가치를 창출하겠다는 목표가 담겨 있으며, 현대백화점 창사 이래 최대 규모의 개발이 될 것으로 보인다.

현대백화점 정지영 대표이사는 “당사 최대 규모인 판교점 투자금액 이상의 재원을 (광주에) 투자하고 국내외 최고 인재들이 모여 준비하고 있다”며 “더 현대 광주는 더 현대 서울을 뛰어넘는 도전의 기회일 것이고, 완성 시에는 국내는 물론 세계적으로 찾아볼 수 없는 문화와 예술이 접목된 세계적인 명소가 될 것이다”고 말했다.

‘더 현대 광주’가 들어서는 옛 전방·일신방직 부지는 현재 지구단위계획 수립 절차를 진행 중이다. 내년 상반기까지 건축 인허가를 완료한 뒤 착공할 계획이다. 준공 및 개점은 2027년 하반기로 예정하고 있다.

전체적인 사업은 비교적 순조롭게 진행되고 있지만 가장 큰 난제는 ‘교통’이다.

일산방직 일대는 ‘더 현재 광주’가 들어설 경우 하루 8만대, 가장 혼잡할 때는 시간당 8000대까지 차량 왕래가 예측되고 있다. 기존 도로 구조로는 상습적인 교통정체를 피할 수 없다.

광주시 교통영향평가심의위원회는 지난 10일 회의를 열고 옛 전방·일신방직터 개발 계획과 관련해 현대측에 7가지 항목의 교통 보완책을 마련하라며 수정 의결했다.

제시된 보완책을 보면 교통량 분산 기능을 담당할 우회도로를 개설하고, 사업지를 관통하는 35m 폭 차로의 건축선을 후퇴하는 이른바 셋백(Set Back·건축선 후퇴) 구간 확보 등이 명시됐다. 또 광주천을 지날 수 있는 교량 신설도 요청했다. 교통의 원활한 흐름을 위해서는 필수조치이지만, 문제는 돈이다.

현대로서는 셋백구간 확보를 위해선 사업면적을 줄여야 하고 여기에 교량과 추가 도로 개설 비용 부담시 수백억원의 추가 지출을 감당해야 한다.

사업자 측은 “옛 전방·일신방직터 개발 사전협상에 따라 5899억원을 이미 공공기여로 내겠다고 밝힌 만큼 도로 개설 비용 등은 광주시에서 부담해야 한다”는 입장이지만, 광주시는 다른 의견이다. 광주시 관계자는 “공공기여금과 교통영향평가는 다른 사안”이라며 선을 그었다.

6월 열리는 교통영향평가위원회에서 현대가 어떤 답을 내놓느냐가 향후 사업 향방을 좌우할 전망이다. 일각에서는 일정 비용을 시와 현대가 나눠 부담하지 않겠느냐는 예측도 조심스럽게 제기되고 있다.
노병하 기자 byeongha.no@jnilbo.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