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적 이슈 4차 산업혁명… '광주형 모델' 구축 필요
  • 페이스북
  • 유튜브
  • 네이버
  • 인스타그램
  • 카카오플러스
검색 입력폼
정치
세계적 이슈 4차 산업혁명… '광주형 모델' 구축 필요
● 주요국 4차 산업혁명 추진 전략
신기술과 산업 간 융합
산업계 변화도 불가피
한발앞선 각국들 전략
  • 입력 : 2017. 11.16(목) 00:00
광주시가 마련한 '4차 산업혁명, 새로운 패러다임을 찾아서'라는 주제 특강에서 오명 전 부총리겸 과학기술부 장관이 '4차 산업혁명에 필요한 리더의 자질과 역할'에 대해 강의하고 있다. 광주시청 제공
2016년 1월 스위스 다보스에서 열린 '세계경제포럼(WEF)'에서 이슈화된 4차 산업혁명에 대한 사회적 관심은 알파고 대국을 계기로 더욱 뜨거워졌다. 현재 우리나라를 비롯해 많은 나라에서 4차 산업혁명에 대한 국가 차원의 전략적인 대응책 마련을 하고 있다.



●다양한 4차 산업혁명 정의들

4차 산업혁명에 대한 정의는 다양하다.

WEF는 4차 산업혁명을 기술 또는 국가의 이슈를 뛰어넘는 지구적 차원의 사회이슈로 인식하고 있다. WEF는 4차 산업혁명의 특징을 물리계, 디지털계, 바이오계 기술의 융합이라고 정의했다. 제4차 산업혁명은 새로운 기술(AI, 로봇, 사물인터넷, 자율주행자동차, 3D프린팅, 나노기술, 바이오기술, 소재과학, 에너지저장, 퀀텀컨퓨팅 등)에 의해 가속화 될 것이라고 예측했다.

산업계 변화도 예고했다. 산업구조, 비즈니스 모델, 비즈니스 프로세스 등이 달라져 기존의 '가치사슬' 패러다임이 변화하는 동시에 공급과 소비 패턴의 변화가 기존 산업구조 변혁을 야기해 공유경제가 활성화될 것이라는 예측이다.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KISTEP)은 정보통신기반의 기술이 4차 산업혁명과 미래사회 변화를 야기하는 원인으로 봤다. 또 4차 산업혁명은 '초연결성' '초지능화'의 특성을 가지고 있고, 이를 통해 모든 것이 상호 연결되고 보다 지능화된 사회로 변화시킬 것이라고 전망했다. 4차 산업혁명에 따라 미래 사회는 기술ㆍ산업구조 측면에서 기술 및 산업 간 융합을 통해 '산업구조를 변화'시키고 새로운 스마트 비즈니스 모델이 창출 될 것이라고 했다.

'보스턴 컨설팅 그룹(BCG)'은 4차 산업혁명을 기술 변화로 인해 일자리 구도에 변화가 일어나는 것을 중심으로 서술했다. 2025년까지 독일 내 35개 일자리가 늘어나는 반면 로보틱스와 컴퓨터화로 인해 조립ㆍ생산 부문 일자리가 6만1000개 감소할 것으로 예상했다.



●주요 나라 4차 산업혁명 대응 전략

세계 각국이 4차 산업혁명에 대응하기 위해 발벗고 나섰다. 주요 선진국의 움직임은 놀라울 정도로 빠르고, 적극성을 보이며, 현실 위주다.

미국은 지난 2015년 4차 산업혁명을 주도하기 위해 연방정부의 정보통신기술(ICT) 연구개발 기본계획인 국가과학기술위원회(NITRD)와 새로운 미국 혁신전략 마련에 나섰다. 산ㆍ관ㆍ학이 역량을 결집해 질 높은 제조업 고용 창출과 국가 경쟁력 향상에 이바지하는 신기술 R&D 투자에 목적을 둔 정책이다. 이를 위해 안보, 첨단소재, 로봇공학, 제조공정 등 4대 중점 영역을 선정해 5억달러 이상의 예산을 투입하고 있다.

독일은 3차 산업혁명의 궤를 잇는 개념으로 '인더스트리4.0'으로 표현하고 있다. 인더스트리4.0은 사이버-물리 시스템을 기반으로 한 스마트 공장을 구축하고자하는 제조업 발전전략이다. 전 세계 여러나라들의 제조업 전략 벤치마킹 대상으로 주목받고 있다. 인더스트리 4.0은 2011년 '하이테크 2020'의 10대 핵심 프로젝트의 하나로 채택돼 지속적으로 추진돼 오고 있다. 제조업에 ICT를 접목해 모든 생산 공정, 조달, 물류, 서비스까지 통합적으로 관리하는 스마트 공장을 구축하는 것이 목표다. 이를 위한 기반기술 개발과 생태계 구축ㆍ확산을 지원한다.

일본은 2013년 '일본재흥전략'을 발표했다. '새로운 시대로의 도전 가속화'라는 표어 아래 사회ㆍ경제 기본구조에 큰 변화를 몰고 오는 4차 산업혁명에 대한 대응 전략이다. 일본재흥전략의 10대 과제 중 하나로 '로봇혁명'을 선정하고, 실천계획으로 2015년 '로봇 신전략'을 발표하며 산업부문에서 로봇의 활용 확대를 중시하고 있다. 또 loT(사물인터넷), 빅데이터, 인공지능 중심의 4차 산업혁명의 대비를 강조하며 공공과 민간이 협력해 4차 산업혁명에 대비하고 있다.

중국은 '중국제조 2025'다. 독일의 인더스트리 4.0을 모델로 한 제조업 경쟁력 확보 전략이다. 중국제조 2025는 산업구조를 고도화하고, 세계 제조 강국 1위가 되는 것을 최종 목표로 하고 있다. 이를 위해 공통과제를 혁신역량, 품질제고, ICT와 제조업 융합, 녹색성장을 설정했다. 4대 과제를 달성하기 위해 정부의 간섭 축소, 시장 역할 확대, 대회개방 등을 함께 추진하고 있다.

영국은 4차 산업혁명의 리더가 되기 위해 박차를 가하고 있다. 영국은 세계 최초로 2014년 코딩 수업을 초ㆍ중등 필수 과정으로 채택했다. 최근에는 세계를 돌아다니며 뛰어난 스타트업을 세울 수 있는 인재를 찾고 있다.

올해 초에는 4차 산업혁명 시대를 주도할 중장기 전략으로 '디지털 전략 2017'을 발표하기도 했다. 영국 정부는 디지털 경제가 브렉시트(유럽연합 탈퇴) 이후 겪어야 할 경기 침체의 대안으로 보고 있다. ICT 기반으로 새로 창출할 경제 규모가 브렉시트로 인해 축소될 규모를 능가할 수 있다는 판단이다.

김택환 경기대학교 미디어영상학과 교수는 "독일은 인더스트리 4.0을 선언하며 제조업 생산과정과 사이버기술과의 결합을 통해 기업의 경쟁력을 획기적으로 높이는 방향으로 4차 산업혁명을 주도하고 있다"며 "4차 산업혁명을 선도할 광주형 모델을 구축할 필요가 있다"고 조언했다.

홍성장 기자 sjhong@jnilbo.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