입지자들 '지워라, 안희정' '몸 사려라, 미투'
  • 페이스북
  • 유튜브
  • 네이버
  • 인스타그램
  • 카카오플러스
검색 입력폼
탑뉴스
입지자들 '지워라, 안희정' '몸 사려라, 미투'
대선 때 안희정 지지선언했던
광주ㆍ전남 인사들 '파문' 곤혹
미투 운동 빠르게 확산되자
몸가짐 조심조심… 내부 단속도
  • 입력 : 2018. 03.08(목) 21:00
6ㆍ13 지방선거에 출마 예정인 광주ㆍ전남지역 각계 인사 가운데 '안희정 성폭행' 파문의 불똥이 튈까 전전긍긍하는 이들이 있다. 안희정 전 충남지사와의 인연이 있는 이들은 지난해 19대 대통령 선거에서 안희정 전 지사를 공개 지지했다. 이들은 더불어민주당 대선 후보 경선을 앞두고 지지선언문을 통해 "국민과 지역, 야권 통합과 적폐 청산의 적임자"라며 안 전 지사를 공개 지지했다.

전직 국회의원을 비롯해 김대중, 노무현 전 대통령 비서출신, 광역의회 의원, 시민ㆍ사회단체 대표, 전직 고위 관료, 법조인, 대학 교수까지 다양한 인사가 참여했다. 당시 지지선언에 광주ㆍ전남지역 인사 57명이 함께했다. 이들은 실명과 직함까지 명시해 공개 지지했던 만큼 이번 '안희정 파문'이 부담스러울 수밖에 없다.

특히 이번 지방선거 출마자들은 정도가 더하다. 57명 중 10여명 가까운 이들이 이번 지방선거에 출사표를 던진 상태다. 이들 중 일부는 홍보 등을 위해 자신의 SNS에 게재했던 안 전 지사의 사진을 내리는 등 '안희정 색 지우기'에 나섰다. 혹여 안 전 지사와의 관계가 이번 선거에 악재로 작용할 것이란 우려에서다.

안 전 지사와의 특별한 관계 등을 활용해 '안희정 마케팅'에 나섰던 인사들도 사정은 마찬가지다. 최근 출판기념회에 안 전 지사를 초청해 '토크 콘서트' 형식으로 진행했던 한 인사 측 관계자는 "대학 선후배 사이여서 토크 콘서트에 참여한 것일 뿐 선거에 활용하기 위한 것"이라며 확대 해석을 경계했다. 이른바 '안희정과의 거리두기'다. 그러나 "주변에서 '이번 (안희정 성폭행)사태에 영향이 없느냐'고 걱정하는 전화를 많이 받고 있다"며 악재로 작용하지 않을까 걱정했다.

지난 대선 과정에서 안 전 지사를 지지했던 한 입지자는 "당시에 그런 (성폭행)징조가 있었던 것은 아니기 때문에 크게 개의치 않는다"면서도 "혹여 지지선언했던 것이 영향을 주지 않을까하는 마음이 없는 것은 아니다"고 말했다.

안 전 지사의 성폭행 파문 이후 '미투' (# Me Tooㆍ 나도 당했다)운동이 날로 확산되면서 6ㆍ13 지방선거 광주ㆍ전남지역 입지자들이 몸을 사리고 있다. "한순간 잘못하면 한방에 훅 갈 수 있다"는 판단 때문이다. 입지자들은 저마다 선거 캠프 참가자 단속에 나서는 한편, 여성 유권자를 대할 때에도 스스로 조심하는 분위기다.

지방선거 한 입지자는 "미투 운동이 확산되면서 여성 유권자들을 대할 때나 여성들이 많이 참석한 행사에서는 행동을 아주 조심하고 있다"고 밝혔다. 안희정 전 충남지사 성추문으로 '미투' 운동이 정치권으로 확대되면서 지방선거 출마선언까지 했던 한 입지자는 뜻을 접기도 했다.그는 의혹을 제기한 측을 고소했지만 안 전 지사 파문 이후 진실이 더 왜곡될 수 있다고 판단해 출마를 포기한 것으로 알려졌다.

'미투의 위력'을 실감한 출마 예정자들은 내부 단속을 강화하고 있다. 선거 준비 사무실에 나오는 여성 자원봉사자들에게도 각별하게 신경을 쓰는 분위기다. 출마를 준비중인 후보는 물론 선거 캠프 종사자들에게도 '미투' 오해를 받을 만한 행동을 하지 않도록 단속하고 있는 상황이다. 각 정당도 후보 공천과정에서 성범죄 전력 등 도덕성 검증을 강화하기로 했다.

한편 8일'세계여성의 날'을 맞아 지방선거 입지자들은 여성정책을 발표하고 나섰다. 정의당 나경채 광주시장 예비후보는'모두가 평등한 페미니즘 광주'라는 슬로건을 내걸었고, 윤난실 광산구청장 후보자도 "미투 계기로 여성친화도시를 넘어 성평등 도시로 만들자"며 여성공약을 발표했다.

광주시의원 후보 4명과 구의원 후보 8명 등 민중당 광주지역 여성 후보들도 "용기어린 미투선언이 대한민국의 역사를 새로 쓰고 있다"며 유권자를 만날 때 성폭력 근절에 대한 약속을 하는 것을 골자로 한 '위드유(With You) 지방선거 5대 행동수칙'을 발표했다. 이미옥 시의원은 "지금의 미투운동은 지난 역사에서 수많은 여성들의 목숨을 건 투쟁의 연장선에 있으며 촛불 항쟁으로 분출된 민중의 직접정치 요구, '더 이상 참지 않겠다'는 여성들의 정치선언"이라고 강조했다.

홍성장 기자ㆍ박수진 기자 sjpark1@jnilbo.com
탑뉴스 최신기사 TOP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