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6·1지방선거에 도전하는 더불어민주당 강기정 광주시장 후보가 전남일보와 인터뷰를 갖고 있다. 나건호 기자 |
지역균형발전을 위해 지자체를 묶는 광역권 통합이 '선 경제통합 후 행정통합'으로 가야 한다는 구체적인 계획이어서 관심을 끈다.
강 후보는 26일 자신의 선거캠프에서 진행된 전남일보와의 인터뷰에서 "17개 시·도가 무한경쟁해선 중앙정부를 이길 수 없고 수도권을 이길 수가 없다"며 "부울경(부산·울산·경남), 충청권이 메가시티로 대응해서 일정한 성과를 냈던 것은 사실이다. 광주, 전남·북도 그렇게 가야한다"고 밝혔다.
상생과 협력을 바탕으로한 '창의적인 의지'는 통합의 핵심 동력으로 꼽았다. 강 후보는 "윤석열 정부는 국정과제에 기회개발특구를 지원하겠다고 했다"며 "시·도와 광역경제권이 주체적으로 지역을 개발하면 정부가 전폭적으로 지원하겠다는 정책이다. 광주와 전남이 창의적인 의지로 상생하고 협력해야 한다"고 피력했다.
강 후보는 광주·전남의 상생을 위해 전남지사 당선인과 함께 후보 직속의 상생협력특별위원회를 꾸리고 각 분야별로 전문위원회를 구성해 협력활동을 다각화한다는 계획이다.
강 후보는 "광주, 전남·북이 머리를 맞대고 호남을 살려야 한다"며 "반도체 등 첨단 미래산업 공동유치, 광역철도·고속도로 등 교통망 확충, 물류·인적자원·관광 등 상호 교류협력 확대, 경제·생활권 통합 등을 함께 노력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호남 통합' 방법론으로 경제통합을 우선 과제로 꼽았다. 강 후보는 "경제통합이 가장 급하다. 행정의 문제는 최후의 문제다"며 "철도, 버스, BRT, 지하철, 택시 등 요금체계를 통합시켜 교통망을 연결하면 생활적으로 지역을 넘나들게 된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경제권과 교통망이 구축되면 자연스럽게 단일 생활권이 형성된다. 그때 행정통합 논의를 해도 늦지 않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행정통합은 강원도, 제주도 등 특별자치도 형태로 되거나 그렇지 않을 경우 전국이 동시에 행정통합을 진행해야 한다"며 "(광주시정은) 교통망을 잘 연결하고, 생활이 하나가 되는 경제통합을 잘 이루는 일에 힘써야 한다. 이런 과정에서 어느날 국가가 행정통합을 전국적으로 해야된다고 하면 추진할 수 있다"고 통합 방법론도 제시했다.
최황지 기자
최황지 기자 orchid@jnilbo.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