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남일보]영상뉴스>"전남 해양쓰레기 체계적 관리·처리 시급"
  • 페이스북
  • 유튜브
  • 네이버
  • 인스타그램
  • 카카오플러스
검색 입력폼
사회일반
[전남일보]영상뉴스>"전남 해양쓰레기 체계적 관리·처리 시급"
본보·전남대 심포지엄 성료
미수거 쓰레기 연간 4000톤
"많은 섬·긴 해안선 등 한계"
  • 입력 : 2023. 11.12(일) 07:06
  • 이주영 기자 juyeong.lee@jnilbo.com
전남대와 전남일보, (사)전일엔컬스가 주최·주관한 ‘해양영토의 지속가능한 발전 심포지엄’ 세미나가 지난 2일 전남일보 승정문화관에서 열렸다.

이재욱 전남일보 사장을 대신해 박성원 편집국장은 축사를 통해 “태평양에는 대한민국 면적의 16배가 되는 쓰레기 섬이 존재한다. 해양쓰레기는 더 이상 늦춰서는 안되는 시급한 문제”라며 “이번 심포지엄을 통해 전남 무인도서 쓰레기의 현안과 관리에 대한 해법이 제시되길 바란다”고 말했다.

이날 세미나는 오강호 전남대 무인도서연구센터장의 ‘해양영토의 지속가능한 발전방안’ 발제에 이어 윤종주 충남연구원 기후변화대응연구센터장의 ‘충남 무인도서 쓰레기 현안과 관리’, 손정모 전남대 무인도서연구센터 연구위원의 ‘2030년 무인도서 쓰레기 실태조사’ 주제발표 등으로 진행됐다.

토론에는 박수택 생태환경평론가(前 SBS 논설위원)를 좌장으로, 김기중 전남일보 사업본부장, 김두용 전남도 섬정책팀장, 정동호 전남도 해양보전팀장, 박광재 국립수산과학원 연구관, 박은옥 전남연구원 책임연구위원이 토론자로 나섰다.

세미나에서는 전남 해안으로 유입되는 해양쓰레기 중 미수거 쓰레기가 매년 약 4000톤씩 퇴적되고 있어 관련 법 제정 등을 통해 체계적인 관리·처리가 시급하다는 지적이 나왔다.

김동주 전남연구원 초빙연구위원은 “전남은 많은 섬과 긴 해안선을 보유하고 있어 타 연안을 둔 지자체들보다 예산, 인력, 장비 구축 등에 한계가 많다. 법으로 해양쓰레기를 ‘해양폐기물’로 규정, 해안폐기물(지자체), 부유·침적폐기물(해역관리청) 등의 관리를 세분화해 체계적인 수거·처리방안을 모색하는 게 바람직하다”고 밝혔다.

김 위원은 전남도내 해양쓰레기 수거량이 매년 증가세라고 밝혔다. 지난 2015년부터 5년간 전국 해양쓰레기 수거량은 42만6421톤으로 이중 전남은 12만8310톤으로 30.1%를 차지했다. 문제는 2015년 1만7106톤에 그쳤던 전남 해양쓰레기 수거량이 5년새 3만2721톤으로 증가했다는 점이다.

전남 연안의 특성상 전남도와 일선 시군이 해양쓰레기를 수거하는 데에도 한계가 있다는 지적이다. 항구·항만과 해수욕장, 넓은 갯벌과 암반(절벽) 해안 등으로 분포돼 있고, 특히 섬지역은 쓰레기 수거 선박 접안 시설이 없는 데다 바위틈 등에 버려진 쓰레기를 수거하는 데 애를 먹고 있다는 게 김 위원의 설명이다. 전남 해양쓰레기를 체계적으로 관리, 처리하기 위해서는 법·제도적 뒷받침이 우선돼야 한다는 의견이다.

이주영 기자 juyeong.lee@jnilbo.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