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름도 없이'…등산로에 버려진 신생아, 2년째 묻힌 진실
  • 페이스북
  • 유튜브
  • 네이버
  • 인스타그램
  • 카카오플러스
검색 입력폼
사건사고
'이름도 없이'…등산로에 버려진 신생아, 2년째 묻힌 진실
2023년 무등산서 숨진 채 발견…피의자 찾지 못해 관리 미제등록
  • 입력 : 2025. 05.05(월) 15:03
  • 연합뉴스
아기 손. 연합뉴스
이름 없이 태어난 아기의 삶은 광주 무등산의 한 등산로에서 2주 만에 끝났다.

등산로 신생아 유기 사건이 발생한 지 2년이 지났지만, 그날 산자락에서 무슨 일이 있었는지는 여전히 미궁이다.

2023년 3월5일 광주 북구 두암동 무등산 군왕봉 인근에서 한 등산객이 태어난 지 2주 정도 된 신생아가 숨져 있는 것을 발견했다.

부검 결과 이 아이의 사인은 저체온증이었다.

아이에게는 이름은 물론 출생신고 기록이나 임시 신생아 번호도 없어 존재를 증명조차 할 수 없었다.

결국 아이는 이름도 없이 무연고 장례를 치렀고, 한 줌도 안 되는 유골로 광주 영락공원에 홀로 남아있다.

갓난아기가 무슨 이유로 산골짜기에 버려졌는지 경찰이 조사에 나섰지만, 진실은 쉽게 밝혀지지 않았다.

아기와 함께 발견된 빈 캔맥주 한 개 외엔 별다른 단서가 없었다.

경찰이 맥주 캔에서 채취한 DNA를 단서로 수사했지만, 신생아의 DNA와 일치하지 않아 부모 외 제3자의 개입 가능성까지 제기됐다.

경찰이 광주 지역 산부인과 기록과 사건 직전 출산한 산모 명단, 등산로 출입자까지 전방위로 조사했으나 용의선상에 단 1명도 이름을 올리지 못했다.

아이의 마지막 흔적을 쫓는 수사는 곳곳으로 뻗어나갔지만, 어디에서도 사건의 단서를 찾을 수 없었다.

결국 경찰은 산속 깊은 곳에 매정하게 아이를 버린 피의자를 특정하지 못한 채 ‘관리 미제사건’으로 분류했다.

수사를 완전히 종결하지 않고 자료를 보관하며, 새로운 단서가 나올 때까지 기다리는 것이다.

미제로 남는 아동·청소년 범죄가 늘고 있지만, 그중 상당수는 진실을 마주하지 못하고 있다.

더불어민주당 한병도(전북 익산을) 의원이 경찰청으로부터 받은 자료에 따르면 여성청소년과 미제 사건은 2019년 1340건에서 2023년 3077건으로 늘었다.

미제로 등록된 사건 중 수사가 재개되는 확률은 1.8%에 불과하다.

광주의 한 산골짜기에서 멈춘 생명도 수많은 미해결 사건 중 하나로 서서히 잊히고 있다.

당시 사건을 수사했던 경찰 관계자는 5일 “등산로 특성상 많은 사람이 오가는 곳이고, 폐쇄회로(CC)TV를 통해 범인을 특정하는데 한계가 있었다”며 “아이의 억울한 죽음이 명명백백 밝혀질 수 있도록 해당 사건에 대해 아는 사실이 있다면 경찰에 알려달라”고 말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