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항공 참사 책임 묻겠다”…유족·변호인단, 사고 관계자 형사 고소
  • 페이스북
  • 유튜브
  • 네이버
  • 인스타그램
  • 카카오플러스
검색 입력폼
사회일반
“제주항공 참사 책임 묻겠다”…유족·변호인단, 사고 관계자 형사 고소
사고기 운항 및 정비, 관제, 공항 시설 관리자
13일 고소장 제출 예고
  • 입력 : 2025. 05.08(목) 10:54
  • 정유철 기자 yoocheol.jeong@jnilbo.com
뉴시스 제공
지난해 12월 29일 발생한 무안공항 제주항공 여객기 참사와 관련해 유족과 법률 지원을 맡은 변호인단이 본격적인 법적 대응에 나선다.

광주지방변호사회 12·29 참사 법률지원단과 민주사회를 위한 변호사 모임(민변) 광주전남지부는 지난 7일 입장문을 통해 “사고 발생 4개월이 지났지만 진상 규명은 여전히 갈 길이 멀다”며 “사고 책임자들을 고소해 반드시 처벌받게 하겠다”고 밝혔다.

이들은 오는 13일 유족과 함께 사고기 운항 및 정비, 관제, 공항 시설 관리에 연루된 관계자들에 대해 형사 고소를 진행할 계획이다.

이날 오후에는 광주시의회 예산결산특별위원회 회의실에서 유족들을 상대로 고소 계획을 설명하는 자리가 마련됐다.

변호인단은 “사고 당시 책임자 누구도 입건되지 않은 채 시간이 흐르고 있다. 철저한 수사를 통해 사고 원인을 명확히 밝혀야 한다”며 “특히 국토교통부 항공철도조사위원회가 내놓은 조사 결과에 왜곡·축소 의혹이 제기되고 있어 정보 은폐 가능성까지 우려된다”고 주장했다.

이어 제기된 주요 의혹으로 △조류 충돌 직후 복행 시도 경위 △복행 직후 기수를 180도 꺾어 긴급 착륙한 이유 △관제탑 대응의 적절성 △항공기 엔진 유지관리 상태 △활주로 둔덕의 설치·보강공사 규정 준수 여부 등을 꼽았다.

법률지원단은 “국토부는 조사위의 독립성을 보장하고, 모든 조사 과정을 유족과 국민에게 공개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참사 유가족들도 이날 별도의 호소문을 통해 “179명의 가족을 잃은 고통 속에 하루하루를 버티고 있다”며 “해외 항공기 사고 사례처럼 교신 기록과 운항 데이터를 투명하게 공개하라”고 촉구했다.

한편 지난해 12월 29일 오전 9시 3분께 방콕발 제주항공 여객기가 무안국제공항 착륙 도중 동체 착륙을 시도하다 활주로 밖 콘크리트 둔덕과 충돌, 폭발하면서 탑승자 181명 중 179명이 숨지는 참사가 발생했다. 이는 1993년 해남 아시아나기 추락 사고를 뛰어넘는 국내 최악의 항공 참사로 기록됐다.
정유철 기자 yoocheol.jeong@jnilbo.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