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광주광역시는 27일 시청 행복회의실에서 ‘시내버스 안전 모니터링 시스템 G-SAFE 구축 용역 착수보고회’를 개최했다. 광주광역시 제공 |
광주광역시는 27일 시청 행복회의실에서 ‘시내버스 안전 모니터링 시스템 G-SAFE 구축 용역 착수보고회’를 개최했다.
이날 보고회는 광주시, 광주버스운송사업조합, 지역 운수회사 관계자 등이 참석한 가운데 열렸으며, 사업 추진 방향과 시스템 주요기능 등을 공유했다.
‘G-SAFE 구축 사업’은 시민의 안전한 대중교통 이용 환경 조성을 목표로, 기존 사후 대응 중심의 교통안전관리 시스템을 AI 기반의 사전 예방 체계로 전환하는 것이 핵심이다. 급정거·과속·졸음운전 등 운전자 인적 요인에 의한 사고를 사전 예방하는 데 중점을 둔다.
주요 기능은 △실시간 차량 위치·위험운전 행태 모니터링 △차량별 센서 데이터 분석·위험요소 감지 △과속·급정지 등 운전자 운행패턴 분석 △고장 예측 기반 정비 안내 △GPS 기반 사고다발지역 자동 분석·시각화 등이다.
광주시는 올해 하반기 시범 단말기 설치 및 테스트를 거쳐 본격 운영에 들어갈 예정이다.
또 해당 시스템을 기반으로 운전자 맞춤형 교육자료 개발, 정비 우선순위 설정, 교통사고 예방정책 수립 등 다양한 분야에서 G-SAFE 활용을 확대할 계획이다.
광주시는 앞서 지난 2023년 6월 한국교통안전공단, 광주시버스운송조합과 ‘G-SAFE 구축 및 운영을 위한 3자 협약’을 체결했다.
김영선 통합공항교통국장은 “대중교통은 시민의 안전과 직결되는 핵심 서비스”라며 “G-SAFE를 통해 사고를 사전에 예측하고 대응하는 스마트한 대중교통체계를 실현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정상아 기자 sanga.jeong@jnilbo.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