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구속 전 피의자 심문(영장실질심사)을 마친 윤석열 전 대통령이 탑승한 차량이 9일 경기도 의왕시 서울구치소로 들어가고 있다. 연합뉴스 |
이들은 윤 전 대통령의 구속에 대해 ‘사필귀정’이라고 평가하며 이번 구속을 민주주의 회복의 분기점으로 보고, 이를 시작으로 12·3 내란 사건의 전모를 낱낱이 밝혀야 한다고 입을 모았다.
10일 지역 정치권 등에 따르면 강기정 광주광역시장은 이날 자신의 페이스북을 통해 “박정훈 대령은 무죄 확정, 윤석열은 구속 수감됐다”며 “빠르게 제자리로 돌아가는 풍경”이라고 평했다.
김영록 전라남도지사도 “이제 비로소 정의가 다시 실현됐다”며 “국민의 상식과 법 감정에 맞는 당연한 결과”라고 강조했다.
이어 “부하들은 감옥에 있는데 우두머리는 거리를 활보하는 것 자체가 국민의 공분을 샀다. 불법 비상계엄과 같은 불행한 역사가 다시는 발생하지 않도록 내란의 전모가 명명백백 밝혀져야 한다”고 밝혔다.
지역 정치인들도 앞다퉈 윤 전 대통령의 구속을 환영하고, 철저한 진상규명과 엄중한 처벌을 촉구하고 나섰다.
더불어민주당 정준호(광주 북구갑) 의원은 “윤 전 대통령에 대한 재구속은 사법 정의와 역사적 책임이 결국 민심을 따라간 결과”라며 “남은 부조리도 하나씩 바로잡고, 국민이 명령한 정의를 반드시 실현하겠다”고 밝혔다.
이어 “내란 정국이 조속히 종식돼야 민생과 경제에 집중할 수 있다”며 “여야가 서로 다른 시각을 가졌다고 보기보다는, 내란의 강을 함께 건너 협치와 지역경제 회복에 힘을 모아야 할 때”라고 강조했다.
윤 정권에 맞서 삭발까지 감행했던 전진숙(광주 북구을) 의원은 “윤 전 대통령의 재구속은 민주주의를 파괴하려 했던 권력에 대한 국민의 심판”이라며 “과거에도 총칼 앞에 무너지지 않았던 민주주의는 이번에도 더욱 단단해지고 있다. 내란의 전모를 끝까지 밝혀 다시는 이런 비극이 반복되지 않도록 책임을 물어야 한다. 진실의 끝까지, 책임의 끝까지 멈추지 않고 전진하겠다”고 강조했다.
고검장 출신인 박균택(광주 광산갑) 의원도 “별도로 소감을 밝힐 일도 없을 정도로, 당연히 그렇게 될 사안이었다”며 “사필귀정이라는 말 그대로, 일이 순리대로 진행되는 것을 보며 나라가 조금씩 정상화되고 있다고 느낀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이제는 국정 안정을 바탕으로 민생과 경제 회복에 집중할 때”라며 “정부와 여당이 책임 있게 민생 중심의 국정 운영에 나서야 한다”고 강조했다.
주철현(여수갑) 민주당 전남도당위원장은 “내란 수괴 윤석열이 다시 구속됐다”며 “이는 검찰과 ‘짬짜미’로 석방시켰던 법원이 이제야 상식적 결정을 내린 것”이라고 평가했다.
주 위원장은 “윤석열이 일으킨 친위 쿠데타의 전모는 물론, 전쟁을 유도한 외환죄 의혹도 밝혀야 한다”며 “이재명 국민주권 정부의 출범은 과정일 뿐이다. 12·3 내란의 완전한 종식은 내란 세력에 대한 최종 단죄로 완성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박지원(해남·완도·진도) 의원도 “윤석열의 구속은 사필귀정”이라며 “사법부가 국민의 상식에 부합하는 결정을 내린 것에 대해 환영한다”고 밝혔다.
이어 “이번 구속으로 전두환, 노태우, 이명박, 박근혜, 윤석열에 이르기까지 다섯 번째 보수계열 전직 대통령이 구속됐다. 문제는 이 같은 불행한 헌정사가 언제까지고 반복될 수는 없다는 것”이라며 “이번 윤석열 구속이 내란, 외환, 쿠데타의 종식은 물론, 전직 대통령 구속의 악순환을 끊는 계기가 돼야 한다. 정치권과 국민 모두가 대오각성하고 개혁에 나서야 한다”고 촉구했다.
오지현·정성현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