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100 산업단지는 풍력이나 태양광 등 재생에너지만 100% 사용하는 기업들이 입주하는 구조다. 이러한 산단이 현실화되면, 대규모 전력 소비가 필요한 데이터센터나 AI 컴퓨팅 인프라 기업들의 투자 유치에 결정적 계기가 될 수 있다. 특히 전기료 직접 구매(PPA) 허용, 세제 감면, 정주 인프라 구축 등 파격적 혜택이 예고된 만큼, 재생에너지 기반의 기업 활동이 본격화될 가능성이 크다. 전남도는 이미 지난 1일 대통령실에 ‘전남 서남권 50만 에너지 혁신성장벨트’ 구상을 제안했다.
해남 솔라시도에 AI 슈퍼클러스터 허브를 구축하고, 무안·영암·해남·목포를 중심으로 에너지신도시와 해상풍력 산업 생태계를 조성하는 내용이다. 이번 정부 발표는 이러한 전남도의 전략과 맞물리며, 향후 구상 실현에 큰 탄력을 줄 것으로 기대된다. 무엇보다 이 사업은 에너지 전환과 지역균형발전을 동시에 견인할 수 있는 핵심 전략이다. 수도권에 집중된 전력 수요를 분산하고, 서남권 지역의 고질적인 인구 감소와 산업 정체를 해결할 수 있는 대안이 될 수 있다. 정부가 특별법에 전남의 입장을 적극 반영해야 하는 이유다.
전남은 이미 풍부한 재생에너지 자원, 입지적 강점, 유휴부지, 유관 산업 기반 등을 갖추고 있다. 정부의 RE100 정책과 전남의 미래 전략이 맞물린 지금이야말로, 장기적인 국가 에너지 주권 확보를 위해 지방의 역량을 전략적으로 활용할 절호의 기회다. 이제 남은 것은 정부의 정책적 의지와 속도다. 특별법 제정 과정에서 전남이 단순 후보지를 넘어 ‘국가 미래 에너지 거점’으로 자리매김할 수 있도록 제도적·재정적 지원이 뒷받침돼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