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강기정 광주광역시장이 지난 6월 시청 비즈니스룸에서 민선 8기 3주년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광주시 제공 |
25일 강 시장은 자신의 SNS를 통해 “잔치에 상처를 남겼다. 광주만큼은 아니었어야 했는데 생각할수록 송구하다”며 재차 사과의 뜻을 밝혔다.
이어 “과거에는 얼마만큼 주느냐가 중요했지만 이제는 어떻게 주는지가 더 중요해졌다”며 “공급자 중심의 행정 편의주의로 벌어진 일이었지, 악의는 없었다”고 해명했다.
이번 논란은 광주시가 지급한 선불카드의 색상이 일반 시민(18만원)은 빨간색, 차상위계층 및 한부모가족(33만원)은 연두색, 기초생활수급자(43만원)는 남색으로 구분되면서 불거졌다. 이로 인해 카드를 받는 시민의 소득 수준이 외부에 드러나 비난 여론이 급격히 확산됐다. 특히 연두색·남색 카드를 받은 시민들이 저소득층임을 알 수 있어 인권 침해 및 사회적 낙인 우려가 제기됐고 이재명 대통령도 “인권 감수성이 부족한 행정”이라며 질타했다.
광주시는 카드 재발급까지 상당한 시일이 걸리는 점을 감안, 자치구 공무원들을 동원해 연두색·남색 카드에 스티커를 부착해 색상이 드러나지 않도록 하는 임시 조치를 취했다. 하지만 이 과정에서 결제 불편, 공무원의 과도한 야근 등 새로운 문제가 발생했다.
앞서 강 시장은 23일에도 공식 기자회견을 열어 “신속한 지급에만 몰두한 결과 시민께 심려를 끼쳐 죄송하다”며 거듭 사과했고 광주시는 이번 사건을 계기로 ‘인권행정평가단’을 구성, 모든 정책을 전수조사해 인권침해 사례를 평가하고 개선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정상아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