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도시 되고픈 광주, 그런데 어떻게?
  • 페이스북
  • 유튜브
  • 네이버
  • 인스타그램
  • 카카오플러스
검색 입력폼
외부칼럼
문화도시 되고픈 광주, 그런데 어떻게?
  • 입력 : 2018. 02.08(목) 21:00




문화중심도시를 지향하는 광주. 문화사업과 담론이 광주시, 광주문화재단, 국립아시아문화전당을 통해 펼쳐지고 있지만 왜 문화예술인, 시민들은 광주가 문화도시라는 말에 고개를 갸우뚱 거릴까. '차라리 광주가 문화도시가 아님을 선언'하는 퍼포먼스를 하자는 얘기도 나온다.

광주뿐 아니라 모든 도시가 문화도시가 되고 싶어한다. 당연하다. 어떤 도시가 비문화적인 도시가 되고 싶을까. 문화도시, 창조도시가 중앙정부나 시에서 정책적으로 이끈다고 되는 건 아니다. 도시 대부분은 문화도시가 되지 못한다. 그 차이를 가르는 핵심은 뭘까.

바로 문화도시를 만들어가는 실천주체가 '관 주도'인지 '민간 주도'인지에 달려 있다. 왜 민간 주도가 그렇게 중요할까. 전주 문화정책세미나에서 박세훈 국토연구원 연구위원의 말에 따르면 문화와 창조성은 예술가와 혁신가ㆍ시민사회의 영역으로, 정책은 환경을 조성할 뿐 창조성을 만들 수 없다. 국내외에서 성공했다고 평가받는 문화 프로젝트를 보면 대부분 기획자, 예술가 등 전문가 그룹을 포함한 민간에서 주도했고 행정은 지원에 충실한 경우가 대부분이다.

아시아문화중심도시 사업을 비롯한 광주에서 진행되는 문화 사업은 어떤가. 문화예술인, 시민 등 민간주체가 주도적으로 참여해서 이끌어가는 방식이 아닌 관이 주도하는 하향식으로 진행되고 있다. 관이 주도하고 민간이 보조하는 형식이다. 관에서 일하는 사람들 개개인의 잘못이 아니다. 문제는 관 주도사업은 '시스템적으로' 전문성, 창의성, 지속성, 독립성, 시민참여를 담보할 수 없다는 점이다. 그동안 이런 일은 모두가 숱하게 겪어보지 않았던가.

광주가 문화도시가 될 수 있는 본질적인 솔루션은 '문화 민주주의 관점에서 민간 주도로 계획을 수립하고 실행까지 진행하는 시스템 즉 건강한 거버넌스(민관협업) 구축'이라 할 수 있다. 민간과 행정의 협업, 건전한 긴장관계 수립이 중요하다. 시민, 예술가, 기획자, 시의회, 행정이 함께 수평적 파트너십을 구축해 문화도시의 비전과 로드맵을 잡고 지속적으로 긴밀한 정책을 추진해야 한다. 거버넌스 과정에서 발생하는 갈등을 두려워하지 말고 협업의 기회로 삼아야 한다.

지역의 미래를 이끌어갈 미래세대인 청년들도 거버넌스를 위한 '연대'를 시작했다. 반가운 일이다. 30여 개 청년문화단체 연대체인 '상상실현네트워크'가 지난해 8월 출범한 것. '상상넷'은 지난해 '19대 대선 후보자에게 제안하는 대선문화정책 방향 및 10대 핵심 추진과제'와 'KT&G 상상마당 광주 조성'을 공개 제안한 계기로 지속적인 활동을 위해 민간에서 만든 자발적 연대체다. 출범 후에도 '문화예술인들의 정당한 인건비 책정 공개 제안', '청년문화활성화 정책 포럼' 등을 활발하게 이어가고 있다. 이번에 칼럼인 '미래세대 문화담론'에서 상상넷의 구성원들이 청년의 시각에서 새로운 문화이슈를 발굴하고 공론화하는 작업을 시작한다. 칼럼 주제는 크게 두 가지가 되겠다. '미래세대가 꿈꾸는 문화도시 광주를 위한 제언'과 '문화도시 광주를 위한 청년문화정책'이다.

필자는 '상상실현네트워크' 같은 민간주도 활동이 청년뿐 아니라 다양한 연령과 관심주제, 소속그룹 등 다양한 계층으로 촘촘히 광주 지역에 확산되길 희망한다. 도시를 구성하는 계층이 주인공으로, 창조자로 일상 속에서 문화활동을 수행해 나가는 모습을 상상해 본다. 바로 그곳이 문화도시가 아닐까. 미래세대의 문화담론이 기폭제가 돼 지역이 변화하길 기대한다. 그것이야말로 우리 미래세대가 할 일이기 때문이다.


정두용

사단법인 청년문화허브 대표
외부칼럼 최신기사 TOP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