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챗GPT 생성 이미지. 뉴시스 |
한국언론진흥재단이 지난 1일 발표한 '지브리 스타일, 생성형 AI에 대한 인식을 바꾸다' 보고서에 따르면, 국내 생성형 AI 사용자 중 59.5%가 이미지 변환 기능을 사용해 본 경험이 있다고 응답했다.
이 중 52.4%는 변환한 이미지를 소셜미디어(SNS)나 메신저 프로필로 활용하거나 지인에게 공유하는 등 적극적으로 사용했으며, 30.9%는 개인적으로 저장하거나 보관하는 데 그쳤다.
연령별 차이도 두드러졌다. SNS나 메신저 프로필에 이미지를 활용한 비율은 60대가 32.8%로 가장 높았고, 20대는 19.6%로 가장 낮았다. 반대로 이미지를 개인적으로 저장하거나 보관한 비율은 20대가 37.7%로 가장 높았고, 60대는 20.7%로 가장 낮았다. 연령이 높을수록 이미지를 외부에 공유하는 적극적인 활용 경향이 나타난 셈이다.
이미지 생성 기능을 사용해 본 이들 가운데 85.9%는 결과물에 만족한다고 답했으며, 83.5%는 생성형 AI에 대한 관심이 높아졌다고 응답했다. 또 77.8%는 앞으로 생성형 AI를 더 자주 사용할 의향이 있다고 밝혔다.
생성형 AI의 주요 활용 목적으로는 △정보 검색(81%) △글쓰기 및 다듬기(51.1%) △사진·이미지 생성 및 보정(51.0%) △외국어 번역(42.1%) △여행·학습·업무 일정 관리(30.5%) 등이 꼽혔다.
특히 '글쓰기 및 다듬기' 항목에서는 연령대별 차이가 뚜렷했다. 20대가 68.3%로 가장 높았고, 이어 30대(60.0%), 40대(48.3%), 50대(37.6%), 60대(29.3%) 순으로 연령이 높아질수록 활용 비율이 낮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한편 생성형 AI 사용에 대한 우려도 적지 않았다. 전체 응답자의 73.0%는 AI 사용으로 스스로 생각하는 시간이 줄어드는 것 같다고 느꼈으며, 64.4%는 AI에 지나치게 의존하게 될까 우려한다고 답했다.
연령대별로는 60대에서 '생각하는 시간이 줄었다'는 응답이 73.6%로 가장 많았으며, 20·30대는 각각 66.5%, 67.0%가 'AI 의존이 걱정된다'고 답해 젊은 층에서도 고민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뉴시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