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제징용 양금덕 할머니 인권상 무산 1년 "굴종 외교"
  • 페이스북
  • 유튜브
  • 네이버
  • 인스타그램
  • 카카오플러스
검색 입력폼
사회일반
일제징용 양금덕 할머니 인권상 무산 1년 "굴종 외교"
강제동원시민모임 등 성명 발표
작년 외교부 이견으로 서훈 무산
"일본눈치 보느라 인권상 못주나"
  • 입력 : 2023. 12.07(목) 18:03
  • 강주비 기자 jubi.kang@jnilbo.com
일제강제동원 피해자 양금덕 할머니가 미쓰비시 사죄·배상을 촉구하는 문구가 적힌 종이를 들고 있다.
일제강제동원 피해자 양금덕 할머니의 ‘대한민국 인권상 수상 무산’ 1년을 맞아 지역 시민단체가 정부를 규탄하고 나섰다.

7일 일제강제동원시민모임과 한일역사정의평화행동은 성명을 내고 양 할머니의 인권상 수상 무산은 “대일 굴종 외교의 민낯”이라고 비판했다.

앞서 지난해 12월 국가인권위원회가 양 할머니를 행정안전부에 정부 포상(국민훈장) 추천했지만 외교부가 ‘이견 있음’ 입장을 밝히면서 국무회의 안건으로 상정되지 못한 채 수훈이 무산됐다.

단체는 “행안부에 따르면 2007년 국정관리시스템이 전산화된 이후 현재까지 16년간 국무회의 안건 상정 과정에서 관련 부처 ‘이견’을 이유로 서훈이 무산된 사례는 양 할머니 이외에 단 한 차례도 없는 것으로 확인됐다”며 “외교부는 1년이 다 되도록 정작 ‘무엇 때문에’ 이견이 있는지 그 사유도 제시하지 않는 것은 물론, 그 뒤 인권위의 거듭된 협의 요청에도 일체 응하지 않았다”고 말했다.

이어 “지난 10월10일 외교부 국정감사에서 민주당 김홍걸 의원이 박진 장관을 상대로 양 할머니의 서훈 수여 절차 재개 여부를 묻자 ‘현재는 강제징용 관련 정부해법이 지금 이행되고 있는 그런 측면도 종합적으로 고려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답변했다”며 “외교부가 인권상 수상 반대 사유로 절차적 문제(사전 협의)를 구실로 들었지만, 사실 그 내막에는 일본과의 관계를 고려한 것이었음을 고백한 것”이라고 비판했다.

그러면서 “양 할머니의 인권상 및 서훈 무산 사태는 윤석열 정권의 대일 굴종 외교, 퍼주기 외교의 민낯을 보여주는 것”이라고 규탄했다.
강주비 기자 jubi.kang@jnilbo.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