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주이슈 123-2>광주 국방·문체위 '0명'…지역 현안 차질 우려
  • 페이스북
  • 유튜브
  • 네이버
  • 인스타그램
  • 카카오플러스
검색 입력폼
일주이슈
일주이슈 123-2>광주 국방·문체위 '0명'…지역 현안 차질 우려
군공항 이전·亞문화중심도시 조성
지역구 당선인 소관 상임위 외면
"광주 발전 위한 대의적 선택 필요"
姜시장 "다소 아쉽다”…우회적 비판
  • 입력 : 2024. 05.26(일) 18:18
  • 김은지 기자 eunji.kim@jnilbo.com
지난달 25일 오전 광주 서구 광주시청 대회의실에서 제22대 국회의원 선거 광주지역 당선인 초청 행사가 열리고 있다. 강기정 광주시장과 이정선 광주시교육감이 현안을 당선인들에게 전달하고 있다. 뉴시스
오는 30일 제22대 국회가 개원하는 가운데 광주지역 당선인들 중 국방위원회와 문화체육관광위원회 지원자가 없는 것으로 나타나 광주 주요 현안인 군공항 이전, 무등산 방공포대 이전, 아시아문화중심도시 사업 등에 차질이 우려된다.

26일 지역 정가에 따르면 광주 국회의원 당선인 8명은 최근 희망 상임위원회 1순위를 확정 짓고 배정을 앞두고 있다.

정진욱 동남갑 당선인은 산업통상자원중소벤처기업위원회, 안도걸 동남을 당선인은 기획재정위원회, 조인철 서구갑 당선인은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 양부남 서구을 당선인은 행정안전위원회, 정준호 북구갑 당선인은 정무위원회, 전진숙 북구을 당선인은 보건복지위원회, 박균택 광산갑 당선인은 법제사법위원회를 1순위로 정했으며, 유일한 재선 의원인 민형배 광산을 당선인은 국토교통부를 1순위로 희망했다.

당선인들은 이같은 희망 상임위를 민주당 원내 대표단에 제출했으며, 민주당은 가급적 이를 존중해 배정할 예정이다.

하지만 광주의 주요 현안인 군공항 이전 문제와 아시아문화중심도시 조성을 매듭지을 수 있는 상임위인 국방위원회와 문화체육관광위원회 지원자가 전무해 우려가 커지고 있다.

두 사업은 광주 최대 현안으로 국회와 여야의 적극적인 협력이 필수적인데도 해당 지역구 당선인들조차 소관 상임위를 맡겠다고 나선 사람이 없다.

앞서 제21대 국회에서는 서구갑의 송갑석 의원이 국방위를 맡아 광산구에 있는 군 공항 이전을 위한 국가의 지원 근거를 담은 광주 군공항 이전 특별법을 대표 발의해 통과시켰다.

송 의원의 경우 무등산 정상 상시 개방, 방공포대 이전 등 대부분의 군 관련 사업이 본인의 지역구 사업이 아닌데도 굵직한 현안을 푸는 데 힘을 보탰다.

송 의원은 “광주 현안 중 국방위에서 해결할 수 있는 사업들이 워낙 사안이 크고 난이도가 높은 데다 광주의 미래와 직접적으로 닿아있는 상황이다”며 “그렇기 때문에 여야 간의 협의도 이끌어내야 하고, 국방부와 줄다리기도 끊임없이 해야 하는데, 국방위에 우리 지역의 의원이 있고 없고는 큰 차이가 있을 수밖에 없다”고 우려했다.

이어 “아무리 기피 부처라 하더라도 누군가 한 명은 있어야 한다. 지역구 의원이라지만 결론적으로는 나랏일을 보는 사람 아닌가. 본인의 지역구가 아니라 하더라도 광주 전체 발전을 위해서라도 누군가는 가야 할 자리다”고 말했다.

아시아문화중심도시 사업을 다룰 문체위 역시 같은 상황이다.

지난 21대 국회에서는 이병훈(동남을) 의원이 문체위에서 활동하며 동구에 있는 국립아시아문화전당과 아시아문화원 관련 사안을 맡았다.

문화체육관광부 소속 국가 조직으로 일원화하는 아시아문화중심도시 특별법 개정안을 통과시켰고, 올해 아시아문화중심도시 조성 예산 513억원 중 335억원이 삭감되자 240억원을 증액시키기도 했다.

이 의원은 “21대 당시에는 광주 주요 현안 사업 해결을 위해 상임위가 필수적인 곳을 정해 하나씩 도맡았었다. 국방위나 문체위는 선호도가 높은 상임위가 아니었음에도 배정을 받았던 것은 원해서가 아니라 필요해서였기 때문이다”며 “자신의 전문성을 살린 상임위를 가는 것도 물론 좋은 모습이지만, 광주 숙원 사업 해결을 위해 대의적으로 나서는 모습도 때로는 필요하다 생각한다”고 말했다.

이와 관련 강기정 광주시장은 지난 16일 간부회의 모두발언을 통해 “민간·군 통합공항 무안 이전, 아시아문화중심도시 조성의 지역 현안을 풀어갈 국방위와 문체위 소속이 없어 다소 아쉽다”며 “(지역의원이 빠진) 해당 상임위원을 명예시민으로 추대하는 방안도 고민하는 등 두 핵심 현안을 챙기기 위해 국방위나 문체위 의원들과 인연을 만들어가겠다”고 지역 당선인들이 국방위와 문체위를 선택하지 않은 것을 우회적으로 비판했다.
김은지 기자 eunji.kim@jnilbo.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