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새미래민주당 이낙연 상임고문이 27일 서울 여의도 중앙당사에서 긴급 기자회견을 열고 국민의힘과의 선거 연대 방안 등을 설명하고 있다. 연합뉴스 |
김문수 국민의힘 대선 후보 지지를 선언한 이낙연 새미래민주당 상임고문에게 더불어민주당과 지역민들이 “변절자 야합”, “몰락을 좌초했다”라며 강도 높은 비판을 퍼부었다.
27일 이 고문은 ‘괴물 독재국가 출현 저지’를 명분으로 김 후보와 공동정부 구성 및 개헌 추진에 원칙적으로 합의했다고 밝히자 민주당은 “돌아올 길마저 없앴다”며 정면으로 날을 세웠다.
김민석 민주당 공동선거대책위원장은 이날 “공도동망, 함께 망하는 결합”이라며 “대한민국에서 가장 감점 효과가 큰 조합이 탄생했다. -10점짜리 파트너와 손잡은 김 후보는 계산 기능이 무너진 것”이라고 비꼬았다. 이어 “두 사람의 결합은 반헌법, 내란 야합이며 민주화 운동을 배반한 사쿠라들의 정치적 야합”이라며 “괴물 독재 운운하며 김문수 손을 잡은 이낙연이야말로 변절 정치의 상징”이라고 직격했다.
박지원 공동선대위원장도 “총리·당대표를 지낸 인물이 김문수와 개헌을 매개로 공동정부를 논했다는 사실에 경악을 금치 못한다”며 “이낙연의 과거, 현재, 미래가 송두리째 불타버렸다”고 질타했다. “윤석열 직계 윤상현 의원이 김 후보 선대위원장을 맡은 날 이낙연이 합류했다. 공동정부? 대통령은 김문수, 총리는 이낙연이냐. 푸하하”라며 조롱도 이어졌다.
윤건영 의원은 “문재인 전 대통령과 아무 상의 없이 이뤄진 이낙연의 행보는 문 대통령을 욕보이는 일”이라며 “그의 선택은 자신이 민주당 대선 후보로 걸어온 길마저 부정하는 행위”라고 평가했다.
민주당 대변인 박경미는 “국민은 이낙연과 김문수의 결탁을 배신과 야합의 역사로 기억할 것”이라며 “정치 생명의 끝을 스스로 자초한 결정”이라고 비판했다. 김명진 민주당 국가전략 특보단장은 “이낙연은 자신을 키워준 호남과 김대중 전 대통령을 배신하고 내란괴물이 되었다”며 “이번 결정은 호남 민심을 자극해 오히려 이재명 후보 지지층을 결집시킬 것”이라고 주장했다.
일각에서는 이낙연의 행보가 전략적 오판이었다는 지적도 나온다. 당초 한덕수 전 총리와 연대를 시도했지만 결실을 보지 못했고, 이후 개혁신당 이준석 후보와 손을 잡았다가 결별한 뒤 김문수와의 전격적인 연합으로 돌아선 것이기 때문이다. 당 내외에서는 “신념이 아닌 자리 욕심”이라는 비판도 거세다.
네티즌 반응도 싸늘하다. “국무총리에 당대표까지 했던 사람이 권력을 위해 내란 세력과 손잡다니 참으로 이기적이다”, “정치의 기본은 국민인데, 이낙연은 결국 밥그릇을 좇았다”는 반응이 쏟아졌다. 온라인 커뮤니티에서는 “5월 초까지만 해도 김문수를 비판하더니 이젠 머리 숙였다”, “계엄 옹호 세력과 손잡는 건 민주주의 배신”이라며 비판하는 목소리가 이어지고 있다.
지역민들은 더욱 차갑다.
정성민(52)씨는 “총리일때 정말 멋있었다. 그가 총리가 될때 반대가 있자, 지역에서 그를 선출하라고 목소리도 높였었다”면서 “전남도지사까지 했다면 지역에 대한 의무와 존중이 있어야 하는데, 그는 이번에 확실히 광주와 전남을 버렸다”고 말했다.
박효원(37)씨도 “더는 그에 대해 논하고 싶지 않다”면서 “그가 어디서 정치를 할지 모르겠지만 적어도 광주와 전남은 아닐것”이라고 답했다.
이 고문은 이번 기자회견에서 “괴물 독재국가의 출현을 막기 위해 선택했다”고 했지만, 그 선택이 자신을 괴물로 만드는 전환점이 될 것이라는 비판이 민주당 안팎에서 계속되고 있다. 정치적 생명이 아니라 ‘정치적 정체성’까지 소진했다는 평가가 뒤따르는 가운데, 이 고문 스스로 ‘돌아올 길마저 스스로 없앴다’는 지역민의 냉소는 앞으로도 더욱 커질 것으로 보인다.
노병하 기자 byeongha.no@jnilbo.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