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라남도의회 김인정 의원이 21일 열린 전남도의회 도정질문에서 전남도의 ‘김 산업’에 대해 질의하고 있다. 전남도의회 제공 |
김 의원은 올해 초 발생한 물김 대량 폐기 사태의 원인을 “전년도 정부의 무분별한 양식 면허 확대와 불법 양식의 확산”이라고 지적했다. 실제로 2025년 전남도의 물김 폐기량은 5715톤으로, 2024년의 54톤 대비 무려 105배 급증한 수치를 기록했다. 시군별로는 진도 2673톤, 고흥 1525톤, 해남 1033톤 순이었다.
전남이 전국 물김 생산량의 80%를 차지하는 만큼, 불법 김 양식 문제를 방치할 경우 어민들의 피해는 걷잡을 수 없이 커질 수밖에 없다. 이에 김 의원은 불법 양식 근절 대책 마련을 촉구함과 동시에, 정부의 금지 조치로 인해 무기산 김 활성 처리제를 사용할 수 없게 된 어민들에 대한 과도한 단속을 지적했다. 어민들이 대안 부재 속 단속에 시달리며 어업권 침해를 호소하고 있는 상황이라는 것이다.
김 의원은 “전남도가 자체 개발한 친환경 김 활성 처리제의 신속 보급이 어민 생계 안정을 위한 핵심 과제”라며 “물김 양식 확대에 맞춰 가공 역량도 비례적으로 성장해 폐기량을 줄여야 한다”고 말했다.
실제 현재 전남서는 247개의 마른김 가공공장이 운영 중이며, 이들에서 전국 마른김의 80%가량이 생산되고 있다. 그러나 올해도 가공 역량 부족으로 공급된 물김을 수용하지 못하면서 가격 폭락 및 폐기 사태가 발생했다.
김 의원은 “마른김 가공업체에 대한 생산력 강화 지원과 함께, 신규 가공공장 유치가 필요하다”며 “정부가 올해 626㏊ 규모의 양식장을 추가로 지정할 계획인 점을 감안하면, 가공 인프라 확충은 더 이상 선택이 아닌 필수”라고 강조했다.
이에 전남도 박영채 해양수산국장은 “불법양식장 단속 강화, 기존 가공업체 지원 확대, 신규 공장 유치에 힘쓰겠다”며, “친환경 김 활성화 처리제도 조속히 보급하겠다”고 답변했다.
김 산업의 미래 경쟁력을 위해 조미김 분야 육성도 반드시 필요하다고 밝혔다.
전남도 연구용역에 따르면 조미김은 마른김 대비 1.9배 이상의 부가가치를 창출하는 분야로, 실제 2024년 기준 전남의 조미김 생산액은 4451억 원으로 전년 대비 28% 증가했다. 그러나 전국 비중은 30%에 불과해 더 많은 성장 가능성이 남아 있는 상황이다.
이에 김 의원은 “조미김 가공공장 유치 확대를 통해 전남이 전국 1위 조미김 생산지로 도약해야 한다”며 “전남도가 추진 중인 ‘국립 김 산업 진흥원’의 진도 설립을 추진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전남 진도군은 전남 내 가장 넓은 김 양식 면허지를 보유하고 있으며, 다양한 품종 양식과 함께 ‘지역 맞춤형 수산종자 실용화센터’가 2027년 완공을 목표로 추진되고 있다.
김영록 전남지사는 이에 대해 “김 의원의 정책 제안에 공감하며, 국립 진흥원 건립과 관련해 정부에 국비 지원을 요청한 상태다. 향후 건립이 결정되면 후보지에 대한 충분한 검토를 거치겠다”고 답변했다.
김 의원은 마지막 발언을 통해 “전남 김 산업의 미래는 단순한 생산량 중심이 아닌, 어민과 기업 모두의 소득 향상을 위한 지속가능한 성장”이라며 “불법 양식 근절, 친환경 활성 처리제 보급, 가공시설 확충, 조미김 육성, 국립 진흥원 유치 등 의정활동을 통해 실현해 나가겠다”는 의지를 밝혔다.
오지현 기자 jihyun.oh@jnilbo.com